장진우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교수팀은 안면경련증 치료시 철저한 신경감시를 바탕에 둔 미세감압술을 적용하면 주요 수술 부작용인 청력손실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연구팀이 2003년 3월~2016년 10월 반측성 안면경련증으로 미세혈관감압술을 시행한 환자 1434명(여성 1033명, 남성 401명, 평균 51.4세)를 31.7개월간 분석한 결과 1333명(93%)은 수술 후 안면경련 증상이 90% 이상 감소했다.
2차합병증 중 안면마비 증세는 대부분 일시적으로 영구적 안면마비 증상은 0.3%에 국한돼 기존 학계에 보고된 최대 22.7%보다 훨씬 적게 발생했다. 무엇보다 수술 후 청력손상 후유증은 0.7%로 현저히 낮았으며 그나마 대부분 일시적 청력장애를 보였고 영구적 청력장애는 0.4%로 기존 연구보고에 나온 2.3~21.2% 수치보다 극히 낮았다.
장진우 교수는“미세혈관감압술을 시행할 때 소뇌 견인을 최소화하고 미세가위를 활용해 뇌거미막 절개를 예리하게 시행해 신경손상을 최소화하는 등 세밀한 수술법을 사용한다”며 “수술방법 개선과 철저한 신경감시를 병행한 결과 청력손실을 훨씬 줄이고 효과적인 치료성과를 가져오는 데 도움됐다”고 말했다.
연구논문은 ‘1434증례를 통해 확인한 반측성 안면경련증 치료를 위한 미세혈관 감압술 후의 청력 결과(Hearing Outcome Following Microvascular Decompression for Hemifacial Spasm: Series of 1434 Cases)’라는 제목으로 세계신경외과학회 공식 학술지인 ‘세계 신경외과학(World Neurosurgery)’ 최근호에 소개됐다.
40세 이후, 얼굴 한 쪽 근육이 의지에 따르지 않는 수축운동을 간헐적 또는 돌발적으로 활발하게 하는 것을 ‘반측성 안면경련증’이라 한다. 다행히 대부분은 뇌종양이나 뇌혈관기형 같은 질환과 연관성이 없다. 하지만 환자들은 스스로 조절할 수 없는 얼굴 떨림 증세로 대인관계의 두려움을 느낀다. 지속되면 사회생활의 장애를 받거나 심해지면 정서적 후유장애로도 이어진다.
발생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안면근육을 움직이는 신경 초입에 뇌혈관 압박이 가해져 발생된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항경련제 계열 약물투여와 보톡스요법이 주로 시행됐지만 완화요법에 불과해 재발이 잦다.
안면근육 조절 신경에 가해지는 압력을 풀어주기 위한 ‘안면신경 미세혈관 감압술’이 치료성공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수술 후 일부 환자에서 불가피하게 나타나는 안면마비나 청력감소 같은 수술에 따른 2차적 합병증이 해결 과제로 남아 있었다. 특히 청력감소는 환자의 사회생활 및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