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노년층의 대부분은 무릎이 시큰거리면서 아픈 경험을 겪어본 적이 있다.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자세를 바꾸거나, 잠을 잘 때 무릎이 뻑뻑하고 시큰거리기도 한다. 이런 증상은 무릎 퇴행성관절염의 발병을 알리는 신호로 볼 수 있다.
퇴행성관절염은 시간이 흐를수록 연골 손상이 가속화돼 염증을 발생하고 뼈와 뼈가 맞닿아 극심한 통증이 느껴지는 질환이다. 제 때 치료하지 않으면 다리가 ‘O자형’으로 휘어 보행이 불편해지고 잠을 잘 수 없을 만큼 통증이 심해진다.
조승배 강동 연세사랑병원 원장은 “퇴행성관절염이 초·중기를 지나 말기까지 진행되면 연골이 닳아 뼈와 뼈가 맞닿게 되고, 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극심한 무릎통증이 발생한다”며 “이럴 땐 보존적 치료보다 인공관절수술을 실시해야 통증이 줄고 무릎의 운동성이 회복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엔 수술기법이 발전하면서 환자에게 딱 맞는 수술도구를 제작하는 맞춤형 인공관절수술이 시행되고 있다.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이 수술은 3D시뮬레이션과 3D프린터기술을 접목해 수술 정확도와 안전성이 높고 수술시간은 단축됐다.
수술 1~2주 전 컴퓨터단층촬영(CT) 혹은 자기공명영상(MRI)으로 무릎관절의 모양과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한다. 이후 영상 자료를 바탕으로 환자의 무릎을 3D시뮬레이션화하고 3D입체영상으로 구현해 체계적인 수술계획을 세운다.
이어 환자 무릎과 똑같은 모형의 인공관절을 정확히 삽입하기 위해 관절 모양을 절삭하는 수술도구를 제작한다. 중심축에 맞게 인공관절을 정확히 삽입하면 새 관절의 수명연장을 기대할 수 있다.
조승배 원장은 “맞춤형 인공관절수술은 안전성과 정확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수술시간이 짧아 폐부종, 하지정맥혈전증, 폐색전증 등 합병증의 발병도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수술 후엔 무릎 주변의 근력을 높이는 운동을 실천하는 게 중요하다. 걷기, 자전거타기, 수영 등은 무릎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하체근력을 높이는 데 도움된다. 양반다리 등 좌식생활은 무릎연골을 손상시키는 주원인으로 침대나 의자 등을 이용하는 입식생활을 하는 게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