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정책사회
정부, 유전체 연구에 8년간 5788억 투입
  • 정기욱 기자
  • 등록 2012-11-27 18:32:26
  • 수정 2012-11-29 17:43:09
기사수정
  • 신약·진단 및 치료기술·고부가 생명자원 등 개발 추진 … 미국과의 4.2년 격차 줄이기 나서

정부가 맞춤 의료, 식량·에너지 자원 개발 등을 위해 유전체 기술개발 경쟁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는 2014년부터 8년간 5788억원을 유전체 연구에 투자하기로 했다고 27일 발표했다. 
보건복지부, 농림수산식품부, 국토해양부,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농촌진흥청은 급변하는 유전체 산업의 발빠른 대처를 위해 ‘포스트게놈’ 신산업육성을 위한 다부처유전체 사업을 기획하고 예비타당성조사를 수행한 결과, 추진 타당성을 인정받았다고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유전체 기술이 가져올 미래사회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비하고 우리나라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범정부적 차원에서 이번 사업을 기획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개인별 맞춤의료를 실현하기 위한 새로운 차원의 신약 및 진단치료기술 개발 △동·식물, 식품기반 미생물, 해양생물 등 각종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생명 자원 개발 △유전체 분석 기술 등 연구 기반 확보 및 조기산업화 촉진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전체 5대 분야(표 참조)에 걸쳐 17개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며, 이 중 부처간 연계·협력이 요구되는 5개 사업은 공동 연구 사업(1035억원, 총사업비의 17.9%)으로 추진된다.
이 결정으로 그 동안 정체됐던 유전체 분야에 정부의 연구·개발(R&D) 투자가 본격화돼 2014~2021년 8년간 국고 5788억원이 유전체 연구에 투자될 예정이다. 매년 투자되는 규모는 약 700억원 수준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인간유전체(보건복지부, 1577억원) △농생명자원(농림수산식품부·농촌진흥청, 1180억원) △해양생명자원(국토해양부, 608억원) △기초·원천(교육과학기술부, 1513억원) △기반·산업화(지식경제부, 910억원) 등으로 나뉘어 12개 사업이 진행된다.
유전체 분야는 21세기 들어 가장 급격한 발전을 보이고 있지만 다른 분야에 비해 투자 및 기술수준이 낮은 편이다. 유전체 기술은 대량의 유전 정보를 일시에 해독하는 장비(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와 대량의 유전체정보를 분석하는 IT 기술의 발전으로 개인 유전체 해독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극적으로 감소됨에 따라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세계미래회의(World Future Society)는 2025년 세계적으로 유전자 치료와 바이오의학 분야에서 큰 성장을 전망하고 있다. 다른 국가의 생명공학(BT, biotechnology)의 전체 예산 대비 유전체 비중은 일본 5.8%, 미국 1.6%인데 비해 국내 유전체 예산 비중은 0.9%에 불과하다.
최고 기술 보유국인 미국 대비 국내 기술수준은 57.7%, 기술격차는 4.2년이다. 줄기세포 및 재생의료기술은 기술수준이 78.6%로 기술격차는 2.5년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 사업으로 유전체 연구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된 중복 투자를 피할 수 있고 분석장비 등 연구인프라와 기반기술을 공동으로 활용해 비용이 절감될 것”이라며 “연구개발 성과를 서로 연계해 시너지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jpg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강동경희대학교병원
JW신약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