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박기형 가천대 길병원 교수, 대한치매학회 차기 이사장 선출 … 2026년 4월부터 2년 임기
  • 오민택 기자
  • 등록 2025-05-14 14:12:15
  • 수정 2025-05-15 16:39:47
기사수정
  • 박상우 건국대병원 교수, 美 혈관인터벤션영상의학회서 최다인용논문상 수상
  • 신수명 고려대 안암병원 교수, 대한당뇨병학회 우수구영상 … 혈장 케톤체와 심장·신장 위험관계
  • 정회훈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교수, 대한소화기학회(SIDDS 2025) 젊은 연구자상 … 담도결석 제거술 비교

박기형 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교수

박기형 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교수가 지난 8∼10일 열린 ‘대한치매학회 국제 학술대회 (IC-KDA&ASAD 2025)’에서 대한치매학회 차기 이사장으로 선출됐다.

 

대한치매학회는 치매 분야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전문 학술단체로, 임상분야 전문의를 포함해 기초의학자, 신경심리사 등 치매 관련 전문가들이 폭넓게 참여해 조기진단과 예방, 치료법 개발 등 치매 극복을 위한 연구와 학술 교류를 하고 있다.  

 

국내 치매 치료 분야 권위자인 박기형 교수의 임기는 2026년 4월 시작해 2년 간이다. 


박상우 건국대병원 영상의학과 교수

박상우 건국대병원 영상의학과 교수가 지난 4월 미국 내슈빌에서 열린 인터벤션 영상의학회(SIR)에서 최다인용논문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혈관 인터벤션 영상의학 학술지 'Journal of Vascular and Interventional Radiology(IF=2.6)'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 저자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박 교수의 연구가 인터벤션 영상의학 분야의 학문적 발전에 크게 기여했음을 인정받은 결과다.


박상우 교수는 현재 건국대병원 팔다리혈관센터장을 맡고 있으며, 인터벤션 영상의학 분야의 국내외 권위자로 꼽힌다. 그는 다양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며, 대한영상의학회 홍보이사와 대한인터벤션영상의학회 총무이사를 역임했다.


또한 박 교수는 미국 및 유럽 인터벤션학회 정회원으로서 활발한 학술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번 수상을 계기로 국제 학계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신수명 고려대 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신수명 고려대 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교수가 최근 열린 ‘제38차 대한당뇨병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제7차 한일당뇨병포럼’에서 우수구연상을 수상했다.


수상 연구는 ‘Anam Metabolic Health Study’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청 케톤체 수치와 심장 및 신장 질환 위험의 연관성’에 대한 내용으로, 신 교수가 제1저자, 김남훈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이번 연구는 2형 당뇨병 환자에서 경미한 수준의 혈청 케톤체 수치 상승이 심장 및 신장 질환의 발생 위험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규명하며, 향후 예후 예측 지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 주목받았다. 특히 심신장 보호 효과로 주목받는 SGLT2 억제제의 작용 기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평가를 받았다.


신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가 당뇨병 환자 진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향후 관련 메커니즘 규명을 위한 후속 연구를 지속할 계획임을 밝혔다.


정회훈 한림대강남성심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정회훈 한림대강남성심병원 소화기내과 교수가 최근 열린 ‘Seoul International Digestive Disease Symposium 2025(SIDDS 2025)’에서 ‘젊은 연구자상(Young Investigator Award)’을 수상했다.


SIDDS는 대한소화기학회 주관으로 매년 국내외 약 1000여 명의 전문가들이 참석하는 아시아 대표 소화기 질환 국제학술대회다. ‘젊은 연구자상’은 만 40세 미만 연구자 중 탁월한 연구 성과를 발표한 이들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정 교수는 해부학적으로 복잡한 담도 결석 환자에 대한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이번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해당 연구는 책임저자 박재근 교수와 함께 수행됐으며, 수술로 인해 해부학적 구조가 변형된 환자군(Surgically Altered Anatomy, SAA)에서 기존 시술법과 신개념 담도 결석 제거술의 효과를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신개념 시술은 기존 대비 정확도와 시술 시간이 개선됐으며 합병증 발생률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자 회복 속도 측면에서도 유의미한 장점을 보였다.


정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고위험 환자에서도 신개념 시술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임상 적용 확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동현 고려대 안암병원 안과 교수

김동현 고려대 안암병원 안과 교수, 아시아태평양안과학회 공로상 수상


김동현 고려대 안암병원 안과 교수가 지난 4월 5일 인도에서 열린 제40차 아시아태평양안과학회에서 공로상(Distinguished Service Award)을 수상했다.


아시아태평양안과학회는 아시아 16개국, 7000여 명의 회원이 참여하는 세계적 규모의 학술대회로, 아시아·태평양·호주 지역의 실명률 감소를 목표로 안과 교육 및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김 교수는 국내외 안과학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와 국제 학회 활동을 지속해온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특히 학문적 성과 뿐 아니라 국제적 네트워크 강화에도 기여해 아시아 지역 안과학 발전에 이바지한 점이 높이 평가됐다.


김 교수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와 국제 협력을 통해 국내 안과학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고,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안과학 발전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홍승철 교수 출간 도서 '나는 왜 졸릴까'

홍승철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정신과 교수 ‘나는 왜 졸릴까’ 출간 … 주간졸림증 수면장애 소개

 

홍승철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낮졸림증과 수면장애를 주제로 한 책 『나는 왜 졸릴까?』를 출간했다.


이번 책은 저자가 25년간 임상에서 진료한 경험을 바탕으로 낮졸림증을 유발하는 다양한 수면장애에 대한 정보를 집대성한 것으로, 기존 수면 서적들이 주로 다루던 불면증이 아닌 기면병과 낮졸림증을 중심 주제로 삼은 점에서 차별성을 지닌다.


책에서는 낮졸림증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부족 문제를 지적하며, 일반 독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수면장애의 원인과 증상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가 궁금해하는 실생활 속 사례, 사회적 제도, 실제 환자 수기, 질의응답 등을 통해 낮졸림증을 더욱 실질적이고 현실감 있게 다뤘다.


기면병뿐 아니라 특발성 과다 수면증,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클라인 레빈 증후군 등 다양한 수면질환에 대해서도 폭넓게 소개하며, 환자들이 일상에서 겪는 어려움을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홍 교수는 “이 책이 낮졸림증 환자들이 올바른 진단과 치료를 받는 계기가 되고, 수면장애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미지 캡션

전진평 한림대 춘천성심병원 교수, 대한신경외과학회 ‘이주걸 학술상’ 수상 … 뇌손상 줄기세포 치료


전진평 한림대 춘천성심병원 신경외과 교수가 최근 제43차 대한신경외과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기초부문 최우수 학술상인 ‘이주걸 학술상’을 수상했다.

   

전 교수는 중증 뇌출혈 질환에서 신경줄기세포 기반 뇌손상 치료제 개발과 관련한 ‘외상성 뇌손상 타깃 하이드로젤 기반 신경줄기세포 전달 시트 개발 및 치료’(Therapeutic Effect of a Hydrogel-based Neural Stem Cell Delivery Sheet for Mild Traumatic Brain Injury)라는 연구로 공로를 인정받았다. 

   

전 교수는 “뇌출혈 발생 이후 신경 회복을 위한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 신경줄기세포 기반 치료제 개발에 대해 연구한 노력을 인정받은 것”이라며 “임상에서 상용화할 수 있는 실질적 치료제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이주걸 학술상은 1961년 대한신경외과학회를 창설하고 신경외과 분야를 이끈 선구적 인물인 고 청봉(靑峰) 이주걸 가톨릭대 의대 신경외과교수를 기념하고자 제정됐다.

   

한편 전진평 교수는 대한신경외과학회에서 2014년도 혈관 부분 최우수상, 2019년도 기초 부분 최우수상에 이어 이번에 세 번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아에스티
정관장몰
차병원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한국다케다제약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
휴온스
하루 동안 이 창을 다시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