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이 의약품 관세부과 계획을 발표한지 단 하룻만에 당초 주요국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한다고 밝히면서 글로벌제약업계의 우려도 일부 완화됐다.
앞선 8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열린 공화당 행사에서 트럼프는 “곧 의약품 수입에 대해 매우 큰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며 “의약품 관세가 발표되면 제약회사들이 중국과 다른 나라를 떠나 미국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번 조치를 통해 제약사들의 미국 내 생산시설 이전(리쇼어링)을 유도하겠다는 의도를 분명히 했다. 이같은 선언적인 발표로 글로벌 제약업계에 비상이 걸렸으며 주가는 급락했다.
그러나 바로 다음날이자 상호관세 부과 적용일인 9일 자신이 설립한 소셜 미디어 플랫폼 Truth Social통해 재보복 대응한 중국에만 관세를 125%로 상향조정하고 나머지 국가의 경우 상호관세를 90일간 일시 유예 한다고 밝히며 우려가 일부 해소되는 분위기다.
상화관세 유예로 중국제외 모든 국가에 5일부터 적용하고 있는 10% 기본관세만 적용된다. 이같은 유예조치와 연결 별도로 검토되고 있는 의약품 관련 관세부과 계획 역시 잠정적으로 유예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선언적인 의약품 관세 부과 관련 발표와 관련 로이터와 폴리티코 등 주요외신은 약 25% 이상 관세가 완제의약품에 적용될 가능성 등을 예상했으며 원료의약품등에 대한 예외는 혈액제제, 항생제 등 필수의약품 등 극히 일부에 한정될 수 있다는 전망을 제시하기도 했으나 명확한 근거가 확인되지는 않았다.
미국제약협회(PhRMA) 역시 즉각 성명을 내고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는 약가 상승과 환자 접근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제약유통협회(HDA) 역시 “광범위한 의약품 관세는 미국 내 의약품 공급망을 위협해 심각한 약품 부족 현상을 초래할 것”이라며 행정부에 관세 면제 또는 유예를 촉구했다.
유럽연합(EU)과 중국, 인도 등 주요 의약품 무역 상대국들도 크게 반발한 바 있다. 주요국중 글로벌제약의 생산기지가 많은 아일랜드는 즉각 산업보호를 위한 대책마련에 나섰고 인도의 경우 제네릭 공급차질의 우려가 제기됐다. 중국은 중국산 원료의약품에 대한 수출통제나 희귀원료 수출 제한 등으로 맞설 가능성을 시사했다.
관세유예 발표 직후 상황에 시장 분석가들은 의약품 부분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에 대한 분석이 제시되지는 않았으나 개별구가별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의약품 관세 적용계획이 발표될 수 있으나 적용되는 시점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