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라매병원, 미국·일본서 진단 못한 부갑상선종양 … 수술까지 단번에 해결
- 미국과 일본에서도 원인을 찾지 못한 부갑상선기능 항진증 환자가 서울시 보라매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고 수술로 완치의 길을 찾아 화제다. 45세 일본계...
- 2025-03-25
-
- 안구 ‘군날개(익상편)’ 모양으로 안구건조증 위험성 예측 가능
- 안구 표면에 날개 모양으로 자라나는 ‘익상편’(翼狀片, 군날개, pterygium)은 각막 표면으로 섬유혈관이 증식하는 질환이다. 익상편이 안구 충혈, 각막 ...
- 2025-03-25
-
- 박웅양 삼성서울병원 유전체연구소장, 아시아 인종 ‘면역 다양성’ 지도 완성
- 같은 병에 같은 치료제를 쓰더라도 사람마다 치료반응은 천차만별이다. 환자의 인종과 나이, 성별, 병의 진행 정도는 물론 세포, 유전적 특징까지 모두 다르기...
- 2025-03-24
-
- 한국인 췌장암 중 93.7% 차지하는 췌관선암 … 5년 생존율 8.5%로 낮아
- 한성식 국립암센터 간담도췌장암센터 외과 교수팀은 국내 췌장암 환자의 조직학적 분류에 따른 역학적 특성과 생존율 차이를 분석한 대규모 인구 기반 코호...
- 2025-03-24
-
- 최낙원 고려대 교수, 이지다이아텍과 혁신적 진단 플랫폼 VEUS 연구개발
- 최낙원 고려대 의대 융합의학교실 교수팀(김민아 고려대 KU-KIST 융합대학원 박사과정생, 정용균 이지다이아텍 대표, 김지영 팀장, 송상훈 서울대병원 진단검사...
- 2025-03-20
-
- 삼성서울병원, 전이암 환자 완화 목적 방사선 치료 최적화 예측모델 개발
- 암이 전이된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라면 환자 최후의 순간을 앞두고 어떻게 부담을 덜어줄지 고민하게 된다. 김해영(교신저자)·이태훈(제1저자) 삼성서...
- 2025-03-20
-
- 서울대병원, EZH2 억제제로 뒤센근이영양증 근육 섬유화 감소 및 근력 향상 효과 입증
- 서울대병원 연구진이 유전성 희귀질환인 뒤센근이영양증(Duchenne Muscular Dystrophy, DMD)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EZH2...
- 2025-03-20
-
- 대동맥판막협착증에 항노화물질 ‘스퍼미딘’ 투여하면 치료 가능성
- 심장 대동맥판막이 노화에 의해 점차 석회화되면서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는 대동맥판막협착증은 그동안 가슴을 절개하고 판막을 수리하는 개흉수술이...
- 2025-03-20
-
- 우현구 아주대 교수, 변이에도 강한 차세대 코로나19 백신후보 발굴
- 코로나19 팬데믹이 잦아들었지만, 바이러스 변이는 계속해서 출현하고 있어 기존 백신의 효과가 감소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변이에 강한 백신 ...
- 2025-03-19
-
- ‘新 자가형광 촬영기술’로 수정체 혼탁도를 객관적으로 평가
- 특정 필터로 자가형광(Autofluorescence, AF) 신호를 정밀하게 촬영해 백내장과 노안 등 수정체 이상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술이 세계 최초로 국내 의료진...
- 2025-03-19
-
- 김동현 고려대 교수, 세계 최초 군날개(익상편) 발생 원인 규명 및 새 후성유전 바이오마커 제시
- 김동현 고려대 안암병원 안과 교수, 류홍열 경북대 자연과학대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군날개(익상편)의 원인을 규명하고, 새로운 진단 바이오마커를 제시했다...
- 2025-03-19
-
- “두통약 끊어야 두통 낫는다” 약물과용두통 치료 효과 확인
- 약물과용두통(medication‑overuse headache) 환자들이 급성기 두통약을 즉각 중단하고 적절한 예방 치료를 받았을 때, 3개월 만에 두통 빈도와 강도가 현저히 감소하...
- 2025-03-19
-
- 분당서울대병원 청각재활센터, 인공와우수술 2000례 달성
- 분당서울대병원 청각재활센터(구자원, 최병윤, 송재진 이비인후과 교수)가 인공와우수술 누적 2000례를 달성했다. 2005년 인공와우수술을 시작한 분당서울대...
- 2025-03-18
-
- 전세계 낙상 사망률, 10만 명당 2021년 14.8명에서 2040년 19.48명까지 증가
- 김선영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연동건 디지털헬스센터 교수, 김소은 연구원)은 낙상으로 인한 전세계 사망률을 분석, 이를 기반으로 추세를 예측한 결...
- 2025-03-17
-
- 최낙원 고려대 의대 교수팀, CRISPR 기술 기반 미세생리시스템 융합연구 미래 조망
- 유전자편집 기술을 활용해 인체 조직과 유사하게 구현된 미세생리시스템(MPS)를 활용하면 신약개발과 개인맞춤형 질병 치료 연구에 큰 진전이 있을 것이라 견...
- 2025-03-14
-
- COPD 환자 폐기능 저하 속도 낮추는 키워드는 ‘흡기유량(FIFmax)’
- 이현우 서울시 보라매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김동현 영상의학과 교수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환자의 폐 기능 저하 속도를 늦추는 중요한 요인이 ‘숨을 ...
- 2025-03-13
-
-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 치료’가 더 효과적인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개인적 인자 분석
- 치매 이전의 고위험 단계로 분류되는 경도인지장애 환자 개개인의 치매 관련 위험인자를 고려한 ‘경두개직류전기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 2025-03-13
-
- ‘금연’ 결심이 ‘작심삼일’인 건 니코틴 대사 관련 유전자 변이 탓
- 흡연자의 금연 결심은 작심삼일에 그치는 경우가 허다하다. 니코틴의 강한 중독성과 의지력 부족이 금연 실패 요인으로 꼽히지만 유전자적 요인도 한몫 한다...
- 2025-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