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크모 치료의 난제 ‘염증’, 혈액정화요법으로 돌파구 마련
- 에크모(체외막산소공급장치,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치료 중에 발생하는 염증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접근법으로 혈액정화요법의 가능성을 평가...
- 2025-11-06
-
- 폐암 조직 슬라이드(H&E)만으로 인공지능 기반 ALK 양성 여부 95% 판별
- 양정욱 경상국립대병원 병리과 교수팀은 기존 H&E 염색 슬라이드만으로 ALK 발현을 95% 이상의 정확도로 예측하는 인공지능 기반 딥러닝 모델‘DeepPATHO’...
- 2025-11-05
-
- 50세 이하 젊은 유방암(치밀암), 수술전 MRI 검사하면 수술후 같은쪽 유방 내 국소재발 감소
-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이 50세 이하 유방암 환자의 재발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규명했다. 특히 예후가 나쁘고, 재발률이 ...
- 2025-11-05
-
- 우울증 치료하려 비타민C 먹는 건 ‘과학적 근거 부족’
- 비타민C가 우울 증상을 개선하거나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고되면서, 정신 건강 개선을 목적으로 비타민C 섭취를 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런 연구는 ...
- 2025-11-05
-
- 한림대 강남성심병원-이온셀, 자궁경부암 면역치료제 ‘TF-BiTE’ 개발
- 박성택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조혜연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정수영 강남성심병원 산부인과 교수팀은 자궁경부암을 표적으로 한 새로운 형태의 면역치료제를 ...
- 2025-11-05
-
- 사이버나이프, 전립선암 치료에 장기간 효과 … 10년간 영역림프절 제어율 97.3%
- 전립선암 환자에서 사이버나이프 치료가 장기간에 걸쳐 우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장아람 순천향대 서울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교수...
- 2025-11-05
-
- 한기훈 고려대 교수팀, 희귀 뇌발달질환 ‘웨스트증후군’의 발작 양상 변화 과정 규명
- 한기훈 고려대 의대 뇌신경과학교실 교수와 이계주 한국뇌연구원 박사, 김은준 기초과학연구원 시냅스뇌질환연구단장, 김진영·정영애 한국기초과학지...
- 2025-11-04
-
- 서울성모병원-고려대 연구팀, 타액 기반 비침습적 두경부암 진단 플랫폼 개발
- 박준욱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와 정호상 고려대 바이오의공학부 교수팀(제1저자 서효정 한국재료연구원 바이오·헬스재료연구본부 연...
- 2025-11-04
-
- DPP-4 억제제 계열 당뇨약, 파킨슨병 진행 막는다
- DPP-4 억제제 계열의 당뇨약이 파킨슨병 진행을 막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정승호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신경과, 김연주 연세대 의대 의생명과학부 김...
- 2025-11-04
-
- 눈 망막 혈관 밀도 낮을수록 심혈관질환 위험 커져 … 죽상경화 위험 최대 3배
- 눈의 망막은 몸속 혈관을 직접 볼 수 있는 유일한 장기다. 이러한 망막의 혈관 분포 즉 혈관 밀도를 보면 심혈관질환 위험을 가늠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
- 2025-11-03
-
- ‘SGLT2 억제제’ 당뇨병 주요 합병증인 심부전·신부전 치료·관리에 긍정적 효과
- 임수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팀의 종설 논문이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 리뷰(Nature Reviews Endocrinology, IF 40.4)에 게재됐다. 이번 논문은 SGLT2(Sodium–Glu...
- 2025-11-03
-
- 용인세브란스병원 정신과, 산모-태아 애착 높이는 ‘챗봇 기반 태교 프로그램’ 개발
- 정경미‧박진영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조희영 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교수팀은 챗봇을 활용한 산전 교육이 남편의 지지 수준과 관계...
- 2025-10-31
-
- 두경부암서 면역항암제 치료반응 예측 … 인공지능 ‘세포 GPT’ 활용
- 면역 T세포의 아형에 따라 면역항암제의 효과가 달라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김혜련·홍민희·김창곤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고윤우·심남석 이비인후과 교...
- 2025-10-30
-
- 유전자 31개로 치매 위험 예측 … ‘한국형 최적 다유전자 위험점수’ 나왔다
- 유전자 30 여개만으로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김희진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 원홍희 성균관대 디...
- 2025-10-30
-
- PI3K 폐암 표적항암제 내성에 ‘클로로퀸’ 투여 … ‘자가포식’ 억제해 암 살상력 높여
- 김지윤 가톨릭대 의대 약리학교실 교수팀이 PI3K 유전자 변이 표적 폐암 표적항암제의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 암세포가 이 표적...
- 2025-10-30
-
- 아주대병원, 인공지능(AI) 기반 허리디스크 절제술 후 재발 예측 모델 개발
- 노성현 아주대병원 신경외과 교수, 김수현 경북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김수현 교수팀과 공동으로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요추추간판탈출증(Lumbar Disc Herniatio...
- 2025-10-30
-
- 고령층, 정상 체중이어도 허리둘레 크면 암 위험 증가
- 65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체중감량보다는 복부지방 관리를 적극적으로 하는 게 암을 예방하는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수연·류혜진 고려대 구...
- 2025-10-30
-
- 국립암센터, 재발성 뇌종양에 단회투여 정맥주사 CAR-T로 안전성 입증
- 곽호신 국립암센터 신경외과 교수가 지난 17~21일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 ‘2025 유럽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ESMO)에서 셀랩메드가 개발 중인 IL13Rα2 CAR-T 치료...
- 2025-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