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상환자 패혈증 조기진단에 ‘프리셉신’ 바이오마커 유용성 확인 … 항생제 최소화 가능
- 화상으로 손상된 피부는 외부 감염에 취약하다. 화상 부위 감염이 패혈증으로 이어지면 심각한 장기부전으로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중...
- 2025-11-12
-
- 운동하면 갑상선암 발생 위험성 19~25% 낮출 수 있어
- 방사선 노출 외에는 아직까지 다른 원인이 많이 밝혀지지 않은 갑상선암과 관련, 운동을 하게 되면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명승권 국...
- 2025-11-12
-
- 김병곤 아주대 교수팀, ‘척수손상 부위서 줄기 세포 생존 비밀 규명’
- 김병곤 아주대병원 신경과 교수팀(뇌과학교실)이 김영민·송수창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사팀과 함께 척수손상 부위에서 신경재생 목적으로 이식된 ...
- 2025-11-11
-
- 부민병원-단국대 연구팀, 폴리뉴클레오티드+교차결합 히알루론산 혼합물 물성 세계 최초 규명
- 서동환 서울부민병원 인공관절센터 박사와 송영석 단국대 고분자시스템공학부 교수팀은 무릎관절염 ‘연골주사’의 새로운 조성물인 폴리뉴클레오티...
- 2025-11-11
-
- 백세현 이대서울병원 교수팀, 로봇 이용 ‘유방 보존술’ … 세계 최초 다기관 공동연구 결과 발표
- 백세현 이대서울병원, 최희준 삼성창원병원 유방외과 교수팀(공동 제1저자)이 국내 7개 대학병원과 참여한 세계 최초의 다기관 공동 연구에서 로봇을 이용한 ...
- 2025-11-11
-
- KCNQ4 유전자변이 후성 유전 난청,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치료제 효과 확인
- 후천성(후성) 유전 난청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의 효과를 확인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헌영 연세대 의대 약리학교실 교수팀(장승현 강사), 복진웅 해부학교...
- 2025-11-11
-
- ‘세포의 우체국’ 골지체 구조 변화가 위암 초래 … 가톨릭대 기전 규명, 치료제 발굴 중
- 세포 소기관 중 ‘골지체(Golgi apparatus)’는 단백질을 분류하고 포장해 필요한 곳으로 보내는 ‘세포의 우체국’과 같은 역할을 한다. 김지윤 가톨...
- 2025-11-11
-
- 전정수도관확장증(EVA) 양측 고도 난청 환아, 보청기재활 후 언어발달 다른 원인 난청보다 우수
- 최병윤 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팀(제1저자 이승재 인제대 일산백병원 이비인후과 교수)이 양측 고도 난청(70~90dB) 환아를 대상으로 난청 원인에 따른 ...
- 2025-11-11
-
- 삼성서울병원, 두경부 재건수술 2000례 돌파 … 단일 진료과 국내 최초 기록
- 삼성서울병원 두경부암센터는 국내 최초로 단일 진료과에서 2000례 이상의 두경부 재건수술을 달성했다고 10일 밝혔다. 두경부 재건수술은 구강암, 구인두암, ...
- 2025-11-10
-
- 스텐트 삽입 심방세동 환자서 ‘항응고제 단독요법’이 이중요법(항혈소판제 추가)보다 안전
- 스텐트 삽입 심방세동 환자에서 항응고제 단독요법이 이중요법(항응고제와 항혈소판제를 병용하는 2중요법보다 우수)의 출혈 위험 등 안전성 면에서 우수한 ...
- 2025-11-10
-
- 간암 환자 면역세포 탈진 심할수록 면역항암제 효과 떨어져
- 장정원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조미라 병리학교실 교수팀(공동 제1저자 이순규 인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임진영 성균관대 의대 교수)...
- 2025-11-10
-
- 서울대병원, 급성신손상‧호흡부전‧사망 등 수술 합병증 3개 동시 예측 AI 개발
- 복합적 수술 후 급성신손상, 호흡 부전, 입원 중 사망 등 3대 주요 수술 합병증을 동시에 높은 정확도로 예측하는 인공지능(AI)이 개발됐다. 서울대병원은 단 16...
- 2025-11-10
-
- 양민재 아주대병원 교수팀, 위암‧담도암‧췌장암 제거후 복잡한 내시경적 장재건 수술 성공률 제고
- 위암‧담도암‧췌장암 등 복잡한 수술에서 시행되는 ‘Roux-en-Y 간공장문합술(hepaticojejunostomy)은 위와 십이지장을 보존한 채 담관과 공장을 새로 연결하는 ...
- 2025-11-10
-
- 서울대병원-네이버, AI로 생물학적 나이와 건강 위험 예측한다
- 서울대병원과 네이버 공동 연구팀이 건강검진 데이터를 활용해 개인의 생물학적 나이와 건강 위험을 함께 평가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 연구...
- 2025-11-07
-
- 모야모야병 산모의 뇌졸중 위험, 자연분만과 제왕절개 간 차이 없어
- 모야모야병을 가진 산모의 분만 방식에 따른 뇌졸중 발생 위험을 국내 최초로 대규모 분석한 결과 자연분만과 제왕절개 출신 방식 간 산후 뇌졸중 발생 위험...
- 2025-11-06
-
- 신동명·김승후 서울아산병원 교수팀 개발, 난치성 면역질환 치료 ‘줄기세포 기술’ 파미셀에 이전
- 서울아산병원이 난치성 면역질환 치료를 위해 개발한 줄기세포 치료제 기술을 최근 바이오 기업에 이전했다. 신동명 울산대 의대 서울아산병원 세포유전공학...
- 2025-11-06
-
- 뇌파-심전도 상 생체신호로 ‘음주 갈망’ 실시간 예측 … ‘알코올중독’ 치료 단서 확인
- 알코올중독자의 ‘음주 갈망(craving)’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즉각적으로 억제하는 새로운 치료 기술이 개발됐다. 황재연 강동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
- 2025-11-06
-
- 서울대병원, 소아 모야모야병 진단·예후 예측 바이오마커로 뇌척수액내 ‘SLTIRK1’발견
- 소아 모야모야병 조기 진단 가능성을 높이는 새로운 바이오마커가 발견됐다. 모야모야병 환자의 뇌척수액에서 ‘SLITRK1’ 단백질 발현이 유의미하게 높...
- 2025-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