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아 크론병, 사이토카인 혈액검사로 인플릭시맙 치료반응 예측
-
복강경 대장암 수술 후 6.4주 지나면 삶의 질 회복해
-
일산백병원 ‘무전극선 심박동기 교육훈련센터’ 지정 … 경기북부 심박동기 최다 시술
-
윤여민 건국대병원 교수, 대한임상화학회 16대 회장 취임 … AI 기술 적용 선도
-
국내 최초 줄기세포 활용 3D 연골 세포치료제 골관절염 치료 성공
-
송영신 보라매병원 교수팀, 예후 가장 나쁜 ‘역형성 갑상선암’ 정밀치료 실마리 찾다
-
“심혈관질환 있다고 운동 피하지 마세요” 꾸준한 운동이 재발 위험 13% 낮춰
-
차세대 KRAS G12C 표적치료제 1상 결과 발표 … 기존 치료제 대비 효과 2배
-
뇌질환 인지기능 저하 환자, 두개골 손상돼도 ‘전자약’ 치료 가능성 확인
-
KMI한국의학연구소, 디지털병리 시스템 구축 … 재향경우회와 업무협약
-
방희진·이승은 건국대병원 교수, BRIC ‘한빛사’ 등재 … 베데스다 갑상선 세포병리 분류
-
유방촬영 AI, 유방절제술 후 반대측 유방의 2차암 진단에 높은 민감도 입증
-
광간섭단층촬영(CT)과 형광수명영상(FLIm) 결합 ‘심혈관 융합영상 원천기술’ 개발
-
장은비·심승혁 건국대병원 교수, 대한부인종양학회 신풍호월 우수학술상 … 자궁내막암 항암요법
-
한양대병원, 노보텍·아크로스타와 임상시험 협약 체결
-
갑작스러운 시야의 가려짐 … 시신경염증, 뇌졸중, 자가면역질환 등 원인 다양
-
정의조차 없던 만성 특발성 후비루, ‘독립 임상질환’으로 인정해야
-
심부전 주요원인 ‘심근병증’의 세분화된 병리에 따라 유전자 치료제 개발 가능성 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