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중앙대병원 연구팀, 걷기운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결과 밝혀 ... 걷기운동 하는 노인이 삶의 질 높다
  • 오민택 기자
  • 등록 2025-07-03 12:19:28
기사수정
  • 비만 노인 중 걷기 운동하는 노인이 삶의 질 2배 이상 높아
  • 김정하·이혜준 중앙대병원 교수팀, SCIE저널 G&GI 논문 발표
  • 노인에서 운동 유형 및 강도에 따른 삶의 질 상관관계 연구

김정하·이혜준 중앙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왼쪽부터)

우리나라 노인의 삶의 질이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가운데, 비만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걷기운동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김정하·이혜준 중앙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은 65세 이상 노인 6060명을 대상으로 걷기운동, 유산소·근력운동 여부와 삶의 질 간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6~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비만 여부(BMI 25 이상)에 따라 운동 습관과 삶의 질(EQ-5D) 지표를 분석했다


운동유형 및 강도와 비만 여부에 따른 삶의 질 상관관계  그 결과, 유산소 및 근력운동과 삶의 질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주당 150분 이상의 걷기운동을 꾸준히 한 노인은 걷기운동을 하지 않은 노인보다 삶의 질이 1.71배 높았다. 특히 비만 노인의 경우, 걷기운동을 한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삶의 질이 2.3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걷기운동의 효과가 비만 노인에게서 더욱 뚜렷하게 관찰됐다.


연구팀은 걷기운동의 유무가 이동성, 자기관리, 일상생활, 통증·불편감 등의 삶의 질 지표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으며, 특히 비만 노인에서는 운동 효과가 더욱 강력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강조했다. 이는 걷기운동이 비만 노인의 신체 기능 유지와 정신적 안정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결과로 풀이된다.


이혜준 교수는 “주당 150분 이상의 걷기운동은 안전하면서도 비용 효율적인 삶의 질 향상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말했으며, 김정하 교수는 “이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질병 이환율과 사망률을 줄이는 데 중요한 공중보건 전략적 의미를 갖는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SCIE 등재 국제학술지 Geriatrics & Gerontology International 최신호에 게재됐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아에스티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