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발성 방광염 환자의 91.1%가 불안감을 느끼며, 재발 횟수가 증가할수록 불안감이 높아지고 질병 지속 기간이 길수록 우울 증세와의 연관성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2명 중 1명은 평생에 한 번 이상 방광염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3분의 1은 최소 한 차례 이상의 재발을 겪는다. 갑작스러운 방광염의 재발은 자존감 저하나 우울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오미미 고려대 구로병원 비뇨의학과 교수
오미미 고려대 구로병원 비뇨의학과 교수팀은 2018년 4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이 병원을 찾은 재발성 방광염 성인 여성 112명을 대상으로 재발 횟수와 질병 지속 기간이 불안(STAI‑S) 및 우울 증세(PHQ‑9)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했다.
그 결과, 전체 환자의 68.8%가 심각한 불안 상태(STAI-S 불안 척도 점수 46점 이상)를, 22.3%가 중간 정도의 불안을 기록했다. 재발 횟수가 증가할수록 불안 척도(STAI‑S) 점수가 유의하게 상승하는 경향이 나타났다(P<0.001). 4회 이상 재발한 그룹의 불안척도점수(평균 60.65점)는 3회 이상 재발한 그룹(평균 53.07점)보다 급격히 상승했다. 우울 증세(PHQ‑9)는 평균 4.12점으로 비교적 낮은 수준을 보였지만, 질병 지속 기간이 길어질수록 우울 증세와의 상관관계가 뚜렷하게 확인됐다(P=0.027).<span class="fr-img-caption fr-fic fr-dib" style="width: 403px;">재발성 방광염의 불안척도점수(STAI-S) 분류 비율
오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재발성 방광염의 반복적 발생이 환자들에게 누적적인 심리적 부담을 초래함을 시사한다”며 “재발성 방광염은 단순한 신체적 증상 이상으로, 환자들의 정신 건강과 삶의 질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체계적인 예방 및 관리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연구는 예방 및 조기 개입 치료 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부각시키며, 재발성 방광염으로 인한 심리적 고통과 사회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데 노력해야 함을 일깨운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논문 ‘Level of Anxiety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requency of Acute Cystitis Recurrence in Women’(여성에서 급성 방광염 재발 빈도와 불안 수준 간의 양의 상관관계)은 국제신경학저널(International Neurourology Journal, )에 지난해 게재됐다.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여성방광염위원장을 지낸 오 교수는 재발성 방광염에 대한 인식개선과 예방을 위한 글로벌 모델인 ‘Recurrent Cystitis Awareness Program’(재발성 방광염 인식 개선 프로그램)을 국내에 성공적으로 도입한 전문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