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심각한 수족냉증, ‘레이노증후군’인 경우 많아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2-12 21:05:00
기사수정
  • 추운 환경에서 손발의 피부 색깔 변화가 단서 … 담배, 베타차단제 끊고 혈관확장제로 치료

겨울철에는 손과 발이 차가운 수족냉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단순한 냉증이 아니라 말초혈관이 수축해 야기되는 ‘레이노증후군’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레이노증후군은 1862년 프랑스의 모리스 레이노(Maurice Raynaud)가 추운 환경에서 손의 색깔이 변하는 현상을 발견하고 자신의 이름을 붙여 만든 질환이다. 감정이 격해지거나 추위 등의 자극에 노출되면 손발 혈관이 순간적으로 심하게 수축해서 말단 부위의 색깔이 하얗게 또는 파랗게 변한다. 이 질환은 발보다 손에서 흔하게 나타나는데, 처음에는 한두 개의 손가락에서 증상이 나타나지만, 나중엔 전체 손가락에서 나타날 수 있다. 특이하게도 엄지손가락에는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레이노증후군은 발병 원인에 따라 1차성과 2차성으로 나눌 수 있다. 대부분은 1차성으로, 특별한 원인 및 기저질환 없이 발생한다. 2차성은 류마티스질환(전신경화증, 전신홍반루푸스, 류마티스관절염 등) 같은 기저질환이나 약물(베타차단제) 등이 유발인자가 되어 발생한다.

 

안중경 성균관대 강북삼성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는 “레이노증후군이 몇 년간 지속되면서 증상이 잘 조절되지 않으면, 드물지만 혈관이 막혀서 피부궤양 또는 조직괴사 등이 발생하기도 한다”며 “레이노증후군은 류마티스질환보다 먼저 또는 동반되어 나타나, 류마티스질환을 조기에 진단하는 데도 중요한 지표가 되기 때문에 주의 깊게 살펴야 하는 질환”이라고 말했다. 

 안중경 성균관대 강북삼성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

안 교수는 “레이노증후군은 세 가지 질문을 통해 어렵지 않게 진단이 가능하다”며 “손·발이 추위에 민감한지, 추운 환경에 손가락 색깔이 변하는지, 이때 손발의 피부 색깔이 하얗게 또는 파랗게 변하는지를 확인하면 된다”고 밝혔다. 

 

레이노증후군을 줄이기 위해서는 △냉장고에서 음식을 꺼낼 때 장갑 사용하기 △설거지 할 때 온수 사용하기 △옷을 따뜻하게 입어 체온을 유지하기 등 차가운 환경을 피하는 게 중요하다, 말초혈관을 수축시킬 수 있는 담배를 끊고, 의사와 상의해 혈관을 수축시킬 수 있는 베타차단제 등의 약물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안 교수는 “치료를 위해 혈관 확장제를 처방하기도 하며, 약물로 낫지 않는 경우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교감신경차단술도 시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아에스티
정관장몰
차병원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한국다케다제약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
휴온스
하루 동안 이 창을 다시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