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 헬스케어 관련 기업은 몇년째 저소득층 고도비만자를 대상으로 체형관리를 무료로 제공하는 사회공헌활동에 나섰다 생각한 대로 진행되지 않아 곤욕을 치르고 있다. 일정 목표로 감량한다고 약속하고 기껏 관리받리겠다고 계약서를 썼지만 이후 다이어트 의지를 내비치지 않거나 관리를 받다가 중도에 속칭 ‘잠수’를 타는 등 후관리에 애를 먹고 있어서다.
최근 헬스케어 관련 업체들 사이에서는 저소득층 고도비만자의 체형을 드라마틱하게 바꿔주는 사회공헌활동이 선호되는 분위기다. 기업 입장에서는 가시적으로 확연하게 체중감량에 성공한 모습을 보여주고 대중의 화젯거리로 부상할 수 있어 피트니스센터, 퍼스널트레이닝숍, 비만클리닉 등 각종 헬스케어기업 등이 자기를 홍보(PR)하는 방안으로 다이어트 사회공헌 방식을 즐겨쓰고 있다.
실제로 저소득층은 고소득층보다 고도비만율이 2배 이상 높다. ‘만병의 근원’으로 불리는 고도비만은 국내 기준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가 30이상인 경우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비만관리대책위원회 조경희 교수팀이 2002~2013년 일반건강검진 수검자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고도비만자 비율은 2002년 2.63%에서 2013년 4.19%로 10여년간 1.59배 증가했다.
현재 고도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연간 7262억원에 달해 불과 4년 전에 비해 2000억원 이상 훌쩍 늘었다. 특히 이같은 현상은 저소득 계층에서 더 심각했다. 소득 수준별로 보면 ‘저소득층’인 의료급여층의 고도비만율이 6.68%로 가장 높았다. 건강보험 가입자 보험료 상위 10%의 고소득층의 고도비만율인 3.1%보다 2.15배나 높은 셈이다.
전문가들은 가난과 질병의 악순환을 막고 비만정책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려면 저소득층의 고도비만 치료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이같은 상황에 다수의 기업과 의료기관이 기업의 사회적책임(CSR)의 일환으로 저소득층 고도비만자의 상황을 돕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모 헬스케어 기업에서 이같은 사회공헌 활동을 담당했던 A모 씨(30)는 “고도비만자를 대상으로 공고를 낸 뒤 면접에 참여한 분들은 당시에 정말 절실한 모습을 보였다”며 “이들의 사연에 감동받거나 안타까움을 느껴 뽑아드렸지만 체중감량 프로그램이 시작된 이후 아무래도 무료라서 그런지 귀찮음이 체중감량 욕구를 이기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생겼다”고 말했다.
가령 한 청소년은 15살에 100㎏가 넘는 몸무게로 친구들과 멀어지며 어두운 성격으로 변하는 자신을 바꾸기 위해 체형관리 프로그램에 도전했다. 하지만 정작 관리받기 시작한 이후 ‘귀찮고 먹는 것을 참을 수 없다’는 등 여러 이유를 대며 무단 이탈하기에 이르렀다.
한 여성은 이같은 사회공헌 프로그램에 도전하며 고가의 체중감량 프로그램을 절반 이상 받은 뒤 갑자기 연락을 끊고 잠적했다. 고도비만으로 임신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부도 ‘스케줄 문제’를 이유로 중도에 포기했다.
블로거들을 모집해 이같은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진행했던 담당자 B모 씨(35)도 “비만관리 등 시간이 오래 걸리는 프로그램에 블로거 체험단을 운영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리스크가 있다”며 “고가의 관리를 제공해도 제대로 포스팅하지 않거나, 중도에 말없이 포기하는 경우가 적잖다”고 말했다.
이어 “예컨대 8주 프로그램을 목표로 포스팅 할 것을 계약해도 세세히 기록해야 할 중간 과정은 생략하고 처음과 마지막 관리만 성의 없이 작성하거나, 아예 중간부터 잠수타는 사람들로 난감할 때가 많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춥거나 더워서, 집과 관리받는 장소가 멀어서, 갑자기 연인이 생겨서 등의 핑계를 대며 담당자들을 애먹이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비만프로그램을 진행할 때에는 참가자와 서비스 제공자가 일종의 계약서를 작성하게 된다. 일정 기간 목표 체중을 정하고 몇 회의 프로그램을 이수할 지, 어떤 방식으로 노출되는지 등의 여부를 규정한다. 사회공헌 프로그램인 만큼 중도에 이탈하면 안 된다는 조항을 집어넣지 않다보니 시행하는 헬스케어기업 입장으로선 인력과 시간, 비용이 투입되고도 아무런 성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B씨는 “이탈자가 생겨도 울며 겨자먹기로 손해를 감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최근에는 이같은 분위기에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신 아예 사회기관 등에 직접 기부하거나 봉사하는 방식으로 돌아가는 곳도 적잖다”고 말했다.
물론 모든 참가자들이 무단 이탈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을 잘 이행하며 80㎏대에서 49㎏까지 감량해 취업에 성공한 여성, 우울증을 이겨낸 주부, 웨딩드레스를 예쁘게 입고 임신까지 바라보는 새댁 등 성공 사례도 있다.
A 씨는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분들이 모두 다이어트에 성공하면 좋겠지만 다이어트에 성공한 사람은 비율은 60% 정도”라고 알려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