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위장관에는 입을 포함한 음식물이 지나는 모든 소화관엔 여러 종류의 미생물이 존재한다. 대장에만 1조마리의 균이 있고, 무게로 환산할 경우 1㎏에 달한다. 유산균과 생균제의 차이점을 구분할 필요가 있는데, 생균제는 숙주 즉 사람에게 도움되는 살아있는 세균을 의미한다.
유산균 중 하나인 라토바실러스는 우유를 발효시켜 유산을 생성하는 프로바이오틱스의 일종이다. 또 프레바이오틱스(prebiotics)는 소화되지 않는 식품 성분(food gradient)을 가리킨다.
류일 가천대 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프레바이오틱스는 장내에 존재하는 특정 세균의 성장과 활성을 선택적으로 촉진해 건강에 도움되는 역할을 한다”며 “유산균을 꾸준히 섭취하면 건강관리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유산균을 비롯한 장내 세균은 병원균의 침입에 대한 방어기능, 면역기능, 대사기능 등을 가진다. 소아에서는 장관의 면역세포 발달 및 면역 기능의 조절에도 영향을 준다. 또 대사기능으로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 즉, 섬유소를 발효시켜 단쇄지방산을 생성해 이를 장상피세포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에너지와 지방 축적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유산균은 흔히 알고 있는 발효 식품에 많이 포함돼 있다. 한국인이 많이 섭취하는 대표적 식품인 김치, 청국장, 된장 등에 많다. 제품화돼 시판되는 것은 최근 들어 매우 많은 종류가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생균제의 종류, 투여량, 장에 안착하는 비율이다. 개인의 장내 환경도 유산균 선택 시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특정 질환에 사용할 경우 의사의 처방을 받는 게 중요하다. 무분별한 사용이나 남용은 오히려 장내 환경을 좋지 않게 변화시켜 역효과를 낼 수 있다.
시중에 판매되는 생균제의 경우 1회 복용량에 100억 또는 1000억 마리의 유산균이 함유했다고 표기돼 있다. 이는 균을 배지에 배양했을 때 얼마나 자라는 지 실험실적으로 증명한 단위로 엄밀한 의미에서 균의 수를 의미하기보다는 투여 후 장 내에 살아있는 균이 얼마나 되는 지를 측정한 수치다.
류 교수는 “최근 미국과 유럽의 보고를 보면 시판되는 생균제품 중 30~40%만 표시와 같은 균종 및 균 집락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일반인은 생균제를 따로 복용하기보다는 발효식품을 먹는 게 훨씬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부득이하게 생균제를 선택할 경우 의사의 처방에 따라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유산균 섭취시 주의사항은 없다. 생균제가 장내에 잘 안착하게 하려면 프레바이오틱스가 필요하다. 치커리, 마늘, 양파, 아스파라거스, 바나나 등은 프레바이오틱스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