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수준에 따라 여성들의 암 사망률이 다르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저학력자일수록 유방암, 자궁경부암, 난소암과 같은 여성암의 사망률이 높았고 이런 경향은 최근 들어 심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윤미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은 2001년, 2006년, 2011년에 집계된 사망원인 통계와 인구주택총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25~64세 여성암 환자를 분석한 결과 인구 10만명당 사망률 변화는 암종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지만 유방암과 자궁경부암은 저학력 여성의 증가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유방암의 경우 2001년 초등학교 이하 학력 여성의 인구 10만명당 사망률은 8.52명에서 2011년 21.9명으로 큰 폭으로 늘었다. 하지만 고등학교, 대학교 졸업자는 사망률이 오히려 줄었다.
자궁경부암도 고등학교 이상 학력인 여성은 사망률이 줄거나 소폭 상승한 데 그쳤지만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력 이하인 여성은 최대 3배까지 늘었다.
이런 차이를 ‘상대불평등지수’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학력 편차에 따른 사망률은 더 극명하게 갈라졌다. 상대불평등지수는 초등학교 이하 학력 여성의 암사망률에 대한 대학교 졸업 여성의 암사망률 상대비로 계산했다. 이 지수가 1보다 큰 것은 학력에 따른 건강불평등 문제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유방암의 상대불평등지수는 2001년 0.58에서 2011년 1.34로 급증했으며 이는 저학력 여성의 유방암 사망이 상대적으로 늘었다는 의미다. 같은 기간 자궁경부암은 2.47에서 3.77로 증가해 학력에 따른 사망률 차이가 심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난소암도 0.79에서 1.50으로 상대불평등지수 1을 넘겨 최근 둘오 학력에 따른 불평등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같은 암종이라도 젊은 여성에서 암 사망의 상대 불평등 지수는 더 높아 학력에 따른 암 사망의 건강 불평등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관찰됐다.
송 교수팀은 한국 여성들의 학력 수준이 이전 세대에 비해 상향됐지만 그만큼 학력이 낮은 여성에서 불평등 정도가 커졌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추정했다. 또 1999년 국가 암 조기검진사업이 시행됐지만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라 암에 대한 관심, 정보 접근성, 수진율이 다른 것도 사망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학력을 포함한 사회경제적 위치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암예방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 교수는 “상대불평등지수가 높은 암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이 필요한 시점이 됐다”며 “저학력계층을 대상으로 암 검진 및 예방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실제 참여하게 하는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불평등 정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