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의학건강
권이영 인하대병원 교수, 2013년 분할 간이식 확대 전후 담도폐쇄증 환자 생존율 변화 확인
  • 오민택 기자
  • 등록 2024-05-08 10:47:30
  • 수정 2024-05-11 11:21:20
기사수정
  •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개복 장수술에 상처보호기 사용이 수술부위감염 예방에 효과적' 연구 결과 발표

2013년 이후 선천적인 담도폐쇄증 때문에 간이식을 받은 소아환자의 이식 생존율이 그 전에 이식을 받은 환자들보다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은 국내에서 분할 간 이식의 적응증이 확대된 시기로 오랜 시간 이식 대기자 명단에 있던 환자들의 생존율은 올라갔지만, 이식 후 이식 생존율 자체는 감소한 것으로 평가됐다. 


권이영 인하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제1저자), 김미진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교신저자), 이상훈 삼성서울병원 외과 교수(교신저자) 등의 국내 연구진은 최근 세계적인 의학 저널인 ‘Frontiers in Pediatrics’에 ‘Long-term outcomes of liver transplantation for biliary atresia and results of policy changes: over 20 years of follow-up experience’이라는 제목의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은 국문으로 ‘담도폐쇄증에 대한 간이식의 장기 결과 및 정책 변화 결과: 20년 이상의 추적 관찰 경험’으로 표현할 수 있다.

 

선천성 담도폐쇄증은 보통 생후 1개월경부터 증상이 나타난다. 담도가 막혀 담즙이 장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간 안에 축적되면서 간 손상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황달이 나타나고 하얗거나 회백색의 변을 보게 되는데, 병이 진행되면서는 간 기능 저하로 복수가 차며 이로 인해 배가 불러지면 숨이 차고 영양 상태가 나빠진다.

 

담도폐쇄증 진단을 받으면 카사이 수술을 시행한다. 카사이 수술은 막힌 담관을 제거하고 장의 일부를 떼서 간과 소장을 직접 연결하여 담즙을 소장으로 보내는 치료 방법이다. 그러나 카사이 수술을 시행하더라도 반복적인 담즙 정체와 담관염으로 간 기능이 손상되면 간이식을 받아야 한다.

 

연구진은 1996년 6월부터 2020년 6월까지 담도폐쇄증 진단 후 간이식을 받은 소아 환자 145명의 의료기록을 분석해 환자 및 이식 생존율, 합병증의 누적 발생률, 위험 요인 및 정책 변경 결과를 평가했다.

 

연구에 따르면 간이식 후 20년 이상 경과한 환자들의 생존율은 95.8%이며, 이식된 간의 생존율은 91.0%이다. 분석 결과, 이식을 받은 시점에 따라 생존율에 차이가 있었는데, 2013년 이후에 이식을 받은 환자들의 생존율이 2013년 이전에 이식을 받은 환자들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2013년은 국내에서 정책 변경으로 인해 분할 간이식의 적응증이 확대된 시기다.

 

또한 간이식 후 일부 합병증은 초기에 더 자주 발생하며, 반복적인 담관염을 일으키는 인자에 대한 평가에서 수혜자의 체중과 기증자의 간문맥(장과 간 사이의 혈관) 크기 비율이 담관염과 담관 협착의 위험 요인이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권이영 교수는 “담도폐쇄증 진단이 늦을수록 간이식을 받는 경우가 높기 때문에 조기발견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며, 만약 아이의 대변이 하얀색, 상아색, 미색일 경우 소아 소화기 전문의에게 빠르게 진료를 받을 것을 권한다”고 강조했다.


유니나 성빈센트병원 대장항문외과 교수

복부 수술 부위의 감염 위험을 낮추는 예방조치로 상처보호기 사용이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8일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에 따르면 수술 부위 감염은 전 세계적으로 병원에서 흔히 발생하고, 환자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감염 요소 중 하나다.


세계보건기구(WHO)도 복부 수술 부위 감염의 위험을 낮추기 위한 예방 조치로 상처보호기 사용을 권장한다. 하지만 국내에선 복강경이나 로봇수술과 같은 일부 제한된 상황에서만 상처보호기 사용이 허가돼 복강 내 염증이 심한 환자가 개복 수술이 필요한해도 사용할 수 없다.


연구팀은 5년 동안 45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복강내 염증이 심한 상황을 포함해 개복이 필요한 장수술에서 상처보호기를 사용한 환자와 일반적인 수술거즈를 사용한 환자의 수술 후 발생하는 수술 부위 감염의 차이를 분석했다.


연구팀에는 유니나 성빈센트병원 대장항문외과 교수팀을 주축으로 가톨릭중앙의료원 산하 4개 병원과 전국 9개 의료기관이 참여했다.


연구 결과 상처보호기를 사용한 환자군의 경우 10.9%에서 수술 부위 감염이 발생한데 반해 일반적인 수술 거즈를 사용한 환자군은 20.5%에서 감염이 발생했다. 상처보호기 사용의 상대위험감소율은 46.81%였다.


유니나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가 현재 세계보건기구의 상처보호기 사용 권장을 견고한 근거가 되고,  현재 국내에서 허용되지 않는 보험 기준에 변화를 가져오는데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했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부광약품
동화약품
존슨앤드존슨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