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의학건강
고려대 안암병원, 폐경 이를수록 뇌심혈관질환 위험 및 사망 높아져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3-11-30 14:27:40
  • 수정 2023-12-02 04:46:31
기사수정
  • 김양현, 이규배 가정의학과 교수 … 30~34세 폐경이면 심근경색은 1.52배, 뇌경색 1.29배, 사망률 1.33배

김양현, 이규배 고려대 안암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은 폐경이 이른 시기에 나타날수록 심혈관질환 발생 및 전체 사망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폐경은 뇌심혈관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주요인자 (risk-enhancing factor)로 생각되고 있지만, 인종과 민족에 따라 조기폐경 발생률이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폐경은 보통 50세 전후에 나타난다. 


40세에서 44세 사이에 폐경이 발생하는 경우를 ‘이른폐경’, 그보다 빠른 40세 이전에 폐경이 발생한 경우를 ‘조기폐경’으로 정의한다. 한국인에서 폐경 시기가 뇌심혈관질환과 사망에 대한 독립적인 위험요소(independent risk factor) 인지 명확하게 규명되지는 않아 관련 연구가 필요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국가검진데이터를 통해 2009년에 수검한 폐경 이후 여성 115만9405명을 대상으로 평균 10년간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 중 1만9999명이 조기폐경이었으며, 113만9406명은 40세 이상의 시기에 폐경이 나타났다.


연구 결과, 40세 이전에 폐경이 나타난 경우 50세 이상에서 폐경을 겪은 여성에 비해 심근경색 위험은 1.4배, 뇌경색 위험은 1.24배, 사망률은 1.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구에서 가장 낮은 연령 그룹인 30~34세에 폐경을 겪은 경우, 심근경색은 1.52배, 뇌경색은 1.29배, 사망률은 1.33배로 가장 높은 위험도를 보였다. 즉 폐경의 연령이 낮을수록 모든 위험도가 증가함이 밝혀졌다.


이규배 교수는 “여성에서 발생하는 뇌심혈관질환은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인지도가 낮은 편이고 그로 인해 치료가 늦어지거나 치료를 받아도 소극적인 경우가 많다”며 “그래서 위험인자들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과거 연구에서는 폐경이 뇌심혈관질환과 사망률에 독립적인 위험인자라는 사실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했었고 이번 연구결과에서 폐경이 발생한 연령이 낮을수록 뇌심혈관질환의 위험과 모든 원인으로부터의 사망률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며 “폐경은 그 자체만으로도 뇌심혈관질환의 위험요소로서 고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양현 교수는 “국내 코호트 데이터를 통해 폐경 이후 한국인 여성의 건강척도로서 폐경 시기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것을 확인한 연구”라며 “폐경 이후 여성에서는 더욱 적극적인 관찰과 위험인자 조절을 통해 치명적인 질환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추적 관리할 수 있는 관련 가이드라인이 보완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번 연구는 ‘Association Between Premature Menopause and Cardiovascular Diseases and All-Cause Mortality in Korean Women’라는 미국심장협회 학술지 ‘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IF=6.107)에 게재돼 국제적인 관심을 모으고 있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부광약품
동화약품
존슨앤드존슨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