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의학건강
임산부, 신생아 GBS 감염 예방 배양검사는 선택 아닌 ‘필수’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3-11-14 19:58:54
  • 수정 2023-11-17 20:14:31
기사수정
  • 출산 시 감염돼 선제적 예방 필요 … 신생아 치사율 50%에 달해, 패혈증·뇌수막염 등 고위험 … 임신 36~37주 시행

최근 늦은 결혼 및 고령 출산 등으로 인한 조산, 유산, 저체중 태아 출산, 선천성 자폐증, 발달장애 등 태아 관련 유병률이 증가하면서 임산부와 태아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산모는 임신 주기에 따라 노출되기 쉬운 감염병이 다르기에 자신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며 주의해야 한다. 임신 중 감염병에 적절하게 대응했더라도 GBS 감염병 등 일부 감염병은 출산 시 산모를 통해 태아에게 이동, 조기 신생아에게 상당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B군연쇄상구군(Group B Streptococcus, GBS)는 신생아 감염증의 주요 원인균으로, 출산 시 산모를 통해 신생아가 감염될 수 있는 감염병 중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산모의 질이나 직장에 존재하는 상재균으로, 성인에게는 낮은 병원성과 치사율을 보이지만 신생아에게는 생명에 지장을 줄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치명적이다. 실제로 과거 미국에서는 GBS로 인한 신생아 치사율이 약 5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신생아의 GBS 감염은 GBS 집락화를 보인 산모가 출산하는 과정에서 수직감염을 통해 일어난다. 질 내 GBS를 보균하고 있던 산모가 진통을 시작하거나 양막파열이 발생하면서 질에서 양수로 이동한 GBS가 태아의 폐로 들어가 균혈증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미국은 임산부에서 나타나는 GBS 집락화를 약 10~30%로 보며, 국내에서는 제한적이긴 하나 2.6~10%로 보고하고 있다. 다만, GBS 집락화가 생긴 임산부로부터 태어난 신생아가 모두 감염되는 것은 아니고 약 1~2%만 조기 감염되며, GBS 집락화 산모의 신생아가 그렇지 않은 산모의 신생아보다 약 25% 이상 발생 위험도가 높다. 


GBS 감염 증상은 출생 후 24시간에서 1주일 이내에 나타나며, 보통 호흡곤란, 고열, 기면(졸림증) 등의 증세를 보인다. 심한 경우에는 패혈증뿐 아니라 폐렴, 뇌수막염으로 이어질 수 있고 제때 치료하지 못하면 극심한 후유증으로 고생할 수도 있다. 문제는 산모에게는 별다른 증상이 없고 위험성 또한 잘 알려지지 않아, GBS 감염의 위험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지나치는 임산부가 많다는 것이다.


임신 중 GBS 보균 여부, 산모 사전 인지 어려워 … GBS 배양검사로 확인해야 


GBS 집락화는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것은 물론 임신 과정 중에 변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적절한 시기에 ‘GBS 배양검사’를 진행하는 게 필요하다. 미국 산부인과의사학회(ACOG)가 발표한 2019년 GBS 감염 예방 가이드는 분만 전 5주 이내의 검사 결과가 출생 시 신생아 GBS 감염을 잘 반영하기 때문에 임신 후기인 36~37주에 검사를 시행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GBS 배양검사는 질과 항문에서 검체를 채취, GBS를 배양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검사 결과에 따라 조기 신생아 감염 예방을 위한 분만 중 항생제 예방치료(Intrapartum Antibiotic Prophylaxis, IAP) 여부가 결정된다. 예방치료가 필요한 대상은 △과거 GBS 감염질환이 있던 신생아 분만의 기왕력을 가진 임산부 △임신 중 GBS 세균뇨가 발견된 임산부 △GBS 선별 배양검사 결과가 양성인 임산부 등이다.


오예진 GC녹십자의료재단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는 “GBS 감염은 건강한 산모에겐 특별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보균율과 집락화 정도에 따라 분만 시 신생아에게 전달되어 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 조기진단이 필요하다”며 “임신 후기 임산부라면 곧 태어날 아이의 건강을 위해 신생아 후유증을 유발하는 GBS 배양검사를 받아 감염증을 사전에 예방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부광약품
동화약품
존슨앤드존슨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