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정책사회
뇌졸중, 어디 사느냐에 따라 생사 갈린다면 … 대한뇌졸중학회 치료 안전망 정책 요구
  • 김광학 기자
  • 등록 2022-07-01 13:30:49
  • 수정 2023-02-02 03:09:58
기사수정
  • 지역 불균형 상태 심각 …사망원인 4위 뇌졸중, 재관류치료 가능한 뇌졸중센터 확충 시

배희준 대한뇌졸중학회 이사장은 1일 롯데호텔 서울에서 '뇌졸중치료 향상을 위한 병원 전단계 시스템과 뇌졸중센터 현황 및 방향성'에 대해 기자간담회를 열고 뇌졸중 치료 안전망 확보를 위해 △병원 전단계 뇌졸중 환자 이송 시스템 강화 △응급의료센터 분포와 같은 전국적 뇌혈관질환 센터 구축 △뇌졸중센터 인증사업 지속·확장 등이 시급하다고 호소했다. 


이날 기자간담회는 학회가 국내 뇌졸중치료 현황과 문제점을 짚어보고 효과적인 뇌졸중치료를 위한 정책적 개선 방안을 알리기 위해 마련다.


주제 발표를 맡은 대한뇌졸중학회 이경복 정책이사(순천향대 의대 신경과)는 “뇌졸중은 국내 주요 사망원인 4위 질환으로, 연간 약 10만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라면서 “전체 뇌졸중 환자의 78% 이상이 60세 이상의 고령 환자인 만큼,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한 대한민국에서 뇌졸중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은 점차 늘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뇌졸중은 갑자기 발생하는 뇌혈류 장애로 뇌혈관 폐쇄로 인한 허혈뇌졸중, 뇌혈관의 파열로 인한 출혈뇌졸중으로 나뉜다. 뇌졸중 치료에서 ‘골든타임’은 환자의 생명과 후유장애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어 치료를 가능한 빠르게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해 이 정책이사는 재관류치료(급성뇌경색 환자에게 혈전용해제를 사용해 혈전을 녹이거나, 기구를 뇌혈관에 삽입하여 혈전을 제거하는 시술)가 가능한 뇌졸중센터로 1차 이송비율이 증가할수록, 환자 사망률이 감소하는 경향이 연구에서 확인됐다며, 병원 전단계에서 뇌졸중 환자를 적절한 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실제 20162018년에 발생한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약 20%는 첫번째 방문한 병원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24시간 이내에 다른 병원으로 전원돼 치료를 받은 것으로 확인된다. 이런 전원 환자의 비율은 지역별로 편차가 컸는데, 가장 낮은 곳은 제주로 9.6%였다. 가장 높은 곳은 전라남도로 환자의 절반 가까운 44.6%가 치료가 가능한 다른 병원을 찾아야 했다. 


전원율이 높은 이유는 전문인력 부족과 뇌졸중센터의 지역 불균형에 있다. 강지훈 병원전단계위원장(서울대 의대 신경과)은 첫 병원 방문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환자들이 지역별로 편차가 심한 이유로 뇌졸중 전문의료인력의 부족 및 뇌졸중센터의 지역적 불균형 문제를 꼽았다. 지역응급의료센터는 2022년 5월 기준으로 215개에 달하나, 표준치료가 가능한 뇌졸중센터는 67개뿐이다. 또 구급대원이 이송 예상병원에 뇌졸중 의심되는 환자를 사전 고지하는 비율이 98%에 달하지만, 이 정보가 뇌졸중 진료 의료진에게 적절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지역 기반의 전문적인 뇌졸중 진료 체계 구축, 양질의 뇌졸중 진료 제공, 지속적인 진료 질 향상 등을 도모하기 위해 2018년부터 뇌졸중센터 인증 사업을 진행중이다. 정맥내 혈전용해술 시행가능 여부, 뇌졸중 집중치료실 운영 등 9개 기준 21개 항목을 통해 뇌졸중 급성기 치료가 가능한지가 인증의 주요 기준이 된다. 현재 재관류치료(급성뇌경색 환자에게 혈전용해제를 사용해 혈전을 녹이거나, 기구를 뇌혈관에 삽입하여 혈전을 제거하는 시술)까지 가능한 뇌졸중센터 54곳, 일반 뇌졸중센터 13곳 등 총 67곳이 뇌졸중센터로 인증됐다.


문제는 뇌졸중센터가 서울·경기·부산 등 특정 지역에 밀집돼, 소위 복합쇼핑몰 분포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뇌졸중 환자들의 급성기 치료가 가능한 뇌졸중센터도 수도권에 57.1%가 집중돼 지역편중이 극심한 상황이다.


이에 차재관 질향상위원장(동아대 의대 신경과)은 "전남·전북·경북·강원 등과 같이 고령인구의 비중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 지역은 뇌졸중센터가 확충돼야 한다"며" 뇌졸중과 같은 급성기 질환은 치료에 따라 환자의 생명과 직결될 수 있기 때문에, 거주지역으로 인해 적절한 치료를 받을 권리를 누리지 못해서는 안된다"고 설명했다. 


학회는 뇌졸중센터 지역 불균형의 주 원인 역시 인력·자원 부족을 꼽았다. 차 위원장은 “뇌졸중집중치료실은 뇌졸중 후 환자 사망률을 21% 감소시키는 효과가 확인될 정도로 환자의 예후와 직접적인 연관을 보인다. 2017년 뇌졸중 집중치료실에 대한 수가가 신설됐으나 턱없이 낮아 운영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꼬집었다.이어 그는 “뇌졸중 집중치료실의 입원료는 약 13만원~15만원 정도로, 간호간병통합 서비스 병동 병실료보다 낮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신경과 전문의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고 짚었다. 급성기 환자가 주로 방문하는 지역응급의료센터에 뇌졸중 진료가 가능한 전문인력이 부족하다. 2018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적정성 평가 자료에 따르면 전국 163개 응급의료센터 중 24시간 뇌졸중 진료가 가능한 센터는 113개 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집계된다. 즉, 30.7% 응급의료센터에서는 24시간 뇌졸중 진료가 어려운 상황이다. 


학회는 이런 지역편중 현상 해결을 위해서는 병원전단계 뇌졸중 환자 이송 시스템을 강화하고 중증응급의료센터 기반으로 뇌혈관질환 센터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응급의료서비스(EMS, Emergency Medical Service)와 뇌졸중 치료가 가능한 센터와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담당 의료기관을 전국적으로 균형감있게 배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진료권을 기반으로 한 응급의료센터 분포 체계와 같이, 급성기 뇌졸중 진료가 가능한 뇌졸중 센터도 전국적으로 확충하고 신경과 전문의를 배치해야 한다고도 지적했다. 


응급의료와 외상 치료의 경우 1995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의 제정 이후 5년 단위로 응급의료 기본계획을 세우고 이행 상태를 점검한 덕분에 지역-권역-중앙응급의료센터 지정 및 운영  전달체계의 구축이 어느 정도 안착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심뇌혈관질환의 응급치료와 관련된 법률 제정은 2016년에 이뤄져 응급의료에 비해 약 20년 뒤졌다. 전달체계의 구축도 전국에 13개 권역센터가 지정돼 있는 수준이며, 이조차 현재 정부의 재정지원이 줄어 들면서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2022년도 보건복지부 예산을 보면 응급의료기금은 2759억원으로 2021년보다 12% 증가했고, 암과 관련된 예산은 1019억 정도로 편성됐다. 하지만 중증필수질환인 뇌졸중과 관련된 권역심뇌혈관센터 지원 예산은 71억원으로 예산 지원이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전달체계의 기본이 되는 지역뇌졸중센터의 설치와 권역센터 확대, 중앙센터 설치가 필요한 상황이며, 국가 지원이 절실하다.  이에 학회는 이러한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대한응급의학과와 함께 오는 7월 2일 공청회를 진행한다.  


이경복 정책이사는 “뇌졸중은 적정 시간내에 적절한 치료를 받느냐에 따라 환자의 예후가 급격히 달라지는 급성기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전문의 부족, 뇌졸중 센터 운영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지역별로 상당히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 변화하는 인구구조와 치료 환경을 반영해, 병원전단계에서 적절한 기관으로 이송되어 적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하며, 더불어 치료의 질 관리를 위해 자원 배분 역시 적절하게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부광약품
동화약품
존슨앤드존슨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