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일공 로봇수술, 단일공 복강경 대비 대장암 환자 조기 회복에 효과적
- 최근 최소침습 수술이 다양한 질환에서 시도되며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아가는 가운데, 단일공 복강경과 단일공 로봇수술로 치료한 대장암 환자의 결과를 ...
- 2025-11-14
-
- 박도중 서울대병원 교수, 대한외과학회 차기 이사장 선출
- 박도중 서울대병원 위장관외과 교수가 최근 열린 대한외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대한외과학회 차기 이사장으로 선출됐다. 임기는 2026년 11월부터 2년이며, ...
- 2025-11-14
-
- 골반장기탈출중에 개복수술, 고가 로봇수술도 아닌 ‘질식자궁절제’로 충분히 해결
- 이택상 서울시 보라매병원 산부인과 교수가 고령 여성에게 흔히 발생하지만 증상 인식과 치료 선택 과정에서 어려움이 생길 수 있는 골반장기탈출증 환자에...
- 2025-11-14
-
- 이대서울병원, ‘바이오그래프 비전 쿼드라’ 동북아 최초 도입 … 최신 PET-CT, 저선량 기술로 방사선 노출 최소
- 이대서울병원은 동북아시아 최초로 최신 PET-CT 장비인 ‘바이오그래프 비전 쿼드라(Biograph Vision Quadra)’를 도입해 오는 11월 17일부터 본격적인 가동에 나...
- 2025-11-13
-
- 충치치료, 나에게 알맞은 보철치료 방법 선택하기가 관건
- 많은 사람들이 인생에 한번쯤 겪을 수 있는 충치는 만약에 생기면 단순히 “때우면 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 치료 방법은 충치의 위치, 크기, 깊...
- 2025-11-13
-
- 중등도~중증 아토피피부염, 자가지방유래 줄기세포 치료 효과 입증
- 중등도 이상 아토피피부염 환자에게 자가지방유래 줄기세포 치료가 효과적이라는 임상 결과가 나왔다. 석준 중앙대병원·서성준 순천향대 천안병원 피...
- 2025-11-13
-
- 스텐트 시술 환자의 최적 이중 항혈소판제 투여 기간은 ‘시술 후 3개월간’ 규명
-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 후에는 스텐트 혈전증과 시술 부위 재발을 막기 위해 시술 직후부터 일정 기간 강력한 이중(二重) 항혈소판제를 투여한다. 스텐트 혈전...
- 2025-11-13
-
- 차광렬 차병원 종합연구소장, 싱가포르 국립대 심포지엄서 특강 ‘난소 노화와 K-셀의 우수성’ 발표 큰 호응
- 차의과학대와 차병원은 싱가포르 국립대와 함께 아시아 태평양 생식의학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제2회 NUS-CHA 심포지엄’을 싱가포르 세인트 레지스...
- 2025-11-13
-
- 숨은 아래턱 사랑니, 젊을 때 발치가 유리
- 방치했던 아래턱 사랑니 통증과 합병증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다. 강남세브란스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연구팀이 아래턱 사랑니 발치 시기에 관한 연구 결과...
- 2025-11-13
-
- 대장암 수술 전후의 항암치료 … 최근 선행치료와 전체 선행치료(수술전 6개월) 선호
- 대장암 진단 이후 마주하게 되는 항암치료는 단순한 ‘그 다음 단계’가 아닙니다. 어떤 경우엔 수술보다 먼저 시작되기도 하고, 어떤 경우엔 완치를 위...
- 2025-11-13
-
- 뇌심부자극술(DBS), 인지기능 저하 없이 뇌전증 발작 70% 감소 … 장기적 관리치료 옵션으로 적합
- 두 가지 이상의 약물을 써도 월 1회 이상 발작이 지속되는 난치성 뇌전증 환자 중 상당수는 뇌 절제 수술이 불가능하다. 이들에게 뇌심부자극술(deep brain stimulat...
- 2025-11-13
-
- 이상욱 순천향대 부천병원 교수, 7cm 신장암 로봇 부분절제술·방광암 내시경 수술 동시 성공
- 이상욱 순천향대 부천병원 비뇨의학과 교수가 최근 73세 고령 환자의 7cm 크기 ‘신세포암’을 로봇 부분절제술로 제거해 신장 기능을 보존하는 데 성공...
- 2025-11-12
-
- 대한심장학회, ‘심장질환 법·제도 공백 해소: 보장성 강화와 인프라 확충’ 국회 토론회 19일 개최
- 대한심장학회(이사장 강석민 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장)는 오는 19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3간담회실에서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함께 ‘심장질환 ...
- 2025-11-12
-
- 돌연사 키우는 ‘조용한 병’ 비후성 심근병증 … 좌심실 근육이 지나치게 두꺼워져 발생
- 비후성(肥厚性) 심근병증은 말 그대로 심근(심장근육)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지는 질환이다. 주로 심장에서 혈액이 온몸으로 나가는 부분인 좌심실의 근육이 ...
- 2025-11-12
-
- 마곡 차병원 난임센터 오픈, 17일부터 본격 진료 … 아시아 최대 규모, 국내 최초 AI 글로벌 특화
- 차병원이 서울 마곡지구에 ‘AI 특화 글로벌 난임센터’를 개소하며,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미래형 난임 치료의 새 장을 열었다.마곡나루역 르웨스트...
- 2025-11-12
-
- 오도연 서울대병원 교수, 제35회 분쉬의학상 본상 … 기초 김영광 가톨릭대 병리학, 임상 진호경 연구원 선정
- 대한의학회와 한국베링거인겔하임은 제35회 분쉬의학상 수상자로 본상에 오도연 서울대 의대 내과학교수를, 젊은의학자상 기초부문에 김영광 가톨릭의대 병...
- 2025-11-12
-
- 화상환자 패혈증 조기진단에 ‘프리셉신’ 바이오마커 유용성 확인 … 항생제 최소화 가능
- 화상으로 손상된 피부는 외부 감염에 취약하다. 화상 부위 감염이 패혈증으로 이어지면 심각한 장기부전으로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중...
- 2025-11-12
-
- 운동하면 갑상선암 발생 위험성 19~25% 낮출 수 있어
- 방사선 노출 외에는 아직까지 다른 원인이 많이 밝혀지지 않은 갑상선암과 관련, 운동을 하게 되면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명승권 국...
- 2025-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