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준 강동 연세사랑병원 족부센터 소장
족저근막은 발바닥에 위치한 두꺼운 섬유띠로 발의 아치 형태를 잡아주고 걸을 때 탄력을 유지한다. 이 섬유띠와 뒤꿈치뼈가 연결되는 부위에 염증이 생기고 붓는 질환을 족저근막염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증상으로 아침에 일어나 첫 발을 디딜 때 심한 통증이 느껴진다. 가만히 있을 땐 괜찮다가 발을 움직이면 통증이 느껴지고, 일정 시간 후 다시 멀쩡해지는 경우가 많다.
주요 발병원인은 과도한 운동이다. 마라톤, 등산, 조깅 등 격렬한 운동을 장시간 하면 자연스럽게 발에 무리가 간다. 또 체중이 급격히 증가한 경우 발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져 족저근막이 부담을 주게 된다. 뒷굽이 1㎝ 이하로 낮은 플랫슈즈는 뒤꿈치에 높은 압력을 줘 족저근막염을 유발한다.
이 질환은 완치에 오랜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발을 딛고 움직일 수 있을 정도가 되면 임의로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가 많다. 조준 강동 연세사랑병원 족부센터 소장은 “족저근막염을 제 때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적인 통증이 느껴지면서 걸음걸이가 비정상적으로 변해 무릎·엉덩이·허리통증으로 악화된다”며 “증상이 심한 경우 족저근막을 절제하는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질환 초기에는 1~2주 안정을 취하면서 약물치료를 받으면 염증이 완화된다. 발뒤꿈치이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는 깔창을 사용하면 치료효과가 배가된다. 통증이 지속될 때에는 수술이나 절개없이 통증과 염증을 치료하는 ‘체외충격파(ESWT)’를 고려해볼 수 있다.
조 소장은 “비수술 치료법인 체외충격파는 분당 1000~1500회 이상의 고에너지 충격파를 가해 통증을 유발하는 자유신경세포의 민감도를 떨어뜨리고, 혈관을 생성해 손상된 족저근막을 치유한다”며 “입원이 필요없고 반복 시행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족저근막염 예방에는 앉은 상태에서 타올을 이용해 15~30초간 발을 당겨주는 스트레칭이 도움된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알루미늄 음료수캔을 발가락부터 발뒤꿈치까지 굴리면 냉찜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플랫슈즈나 딱딱한 신발 등 발에 무리를 주는 신발보다는 쿠션이 있는 편한 운동화를 착용하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