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의학건강
양쪽 무릎 동시에 인공관절 수술해도 좋아 … 안전성‧효과성 입증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8-13 10:12:23
기사수정
  • 용인세브란스병원 의료진, 한쪽 수술 대비 단기 합병증 발생률 및 기능 회복에 차이 없어
  • 수혈량, 입원일 증가 등은 주의해야 … 환자 상태 고려한 신중한 접근 필요

박준영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교수, 박관규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교수팀은 최근 양쪽 무릎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동시에 시행하는 것이 한쪽만 수술하는 것만큼 안전하고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대규모 환자 데이터를 통해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무릎 골관절염은 종종 양측에서 함께 발생하며, 이 경우 한 번에 양쪽을 수술하거나 시기를 달리해 단계적으로 수술할 수 있다. 양측 동시 수술은 비용 절감, 재활 및 전체 입원 기간 단축의 장점이 있으나 안전성 논란이 이어져 왔다.   

연구팀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세브란스병원에서 무릎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 1665명을 분석했다. 이 중 양측 동시 수술군(659명)과 단측 수술군(996명)에서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추적관찰 기간, 동반질환 등을 고려해 각각 653명을 성향 점수 매칭한 뒤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두 집단 간 30일 내 합병증 발생률(1.4% vs 0.9%, p=0.60)과 중환자실 입원율(0.5% vs 0.6%, p=1.00)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1년 후 환자 건강상태 자가평가(PROMs) 지표인 AKS 점수, WOMAC 지수, EQ5D 점수 등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양측 수술군은 평균 입원 기간이 길고(3.9일 vs 3.7일, p<0.01), 수혈률(7.2% vs 2.1%, p<0.001)과 출혈량(128.6ml vs 72.5ml, p<0.001)이 더 높았으며, 헤모글로빈 감소 폭(3.1g/dL vs 2.9g/dL, p<0.001)이 더 컸다.   <img src="/data/cheditor4/2508/f2748f3599162bbeda73866e0699a3a8e9f4ad47.JPG" class="fr-fic fr-dib">

박준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단일 의료기관에서 성향 점수 매칭을 적용한 대규모 분석으로, 양측 무릎 동시 수술이 단측 수술과 비교해 단기 합병증과 기능 회복 측면에서 동등한 안전성과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다만 수혈량 증가와 빈혈 위험성이 있어 고령이거나 동반질환이 많은 환자는 인공관절 전문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을 통해 수술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관규 교수는 “양측 무릎 동시 수술은 전반적인 치료 기간을 단축하고 비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치료법”이라며 “환자의 전신 상태와 동반질환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개별화된 접근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Journal of Orthopaedic Surgery and Research’(IF=2.8)에 최근 게재됐다.

   

용인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인공관절 분과는 박준영 교수의 주도 아래 연간 300례 이상의 수술을 시행하는 등 숙련된 의료진과 체계적인 수술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국내 최고 수준의 관절 전문 센터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아에스티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