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의학건강
2~3기 대장암에서 70세 넘으면 화학항암제(옥살리플라틴) 치료 효과 떨어져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8-13 09:37:55
기사수정
  • 강상희 고려대 구로병원 대장항문외과 교수팀, 고령 환자 항암치료 기준 제시

대장암 수술 후 보조항암치료제로 사용되는 ‘옥살리플라틴’의 연령별 치료효과가 다르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70세 이하에서는 생존율을 개선하지만, 70세를 초과하면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강상희 고려대 구로병원 대장항문외과 교수팀(봉준우 대장항문외과 교수, 정석송·이화민 고려대 의대 의료정보학교실 교수)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국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병기 2기 또는 3기 대장암으로 수술받은 후 보조항암치료를 받은 8561명의 환자를 분석한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이들 환자는 옥살리플라틴을 포함한 항암요법군과 플루오로피리미딘 단독요법군으로 나뉘어 비교되었으며, 환자의 생존율과 항암치료 중단 여부를 주요 평가 지표로 삼았다.

   

분석 결과, 병기 3기 환자 중 70세 이하 환자에게는 옥살리플라틴 기반 치료가 생존율을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령대에서 옥살리플라틴 치료를 받은 환자의 5년 생존율은 84.8%로, 비투여군(78.1%)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반면 70세를 초과한 환자군에서는 생존율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항암치료 중단율이 증가해 치료 지속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 그 원인으로 지목됐다. 병기 2기 환자에게는 연령과 무관하게 옥살리플라틴 추가로 인한 생존 이득이 관찰되지 않았다.

   

옥살리플라틴은 수술 후 재발 위험을 낮추기 위해 사용하는 보조항암치료제 중 하나로, 림프절 전이가 있는 병기 3기 대장암 환자에게 표준치료로 권고되고 있다. 일부 고위험 2기 환자에게도 사용되고 있는 치료제다. 옥살리플라틴은 항암 효과가 우수한 반면 말초신경병증 등 신경독성 부작용이 비교적 빈번하게 나타나는 약제로, 고령 환자에게 사용 시 치료 지속 여부와 부작용 발생 가능성 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강상희(왼쪽부터), 봉준우, 정석송, 이화민 교수

강상희 교수는 “이번 연구는 대장암 치료에서 연령에 따라 항암치료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객관적으로 입증한 데 의의가 있다”며 “특히 70세를 기준으로 옥살리플라틴의 생존 이득이 유의하게 달라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고령 환자에게 획일적인 치료가 아닌 개별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옥살리플라틴은 항암 효과가 뛰어난 약물이지만, 신경독성 등 부작용으로 치료 지속이 어려워지고 삶의 질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고령 환자에게는 단순한 나이 기준이 아니라 생리적 기능, 동반 질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정밀한 치료 계획이 필요하다”며 “이번 연구가 고령 대장암 환자에게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ICT혁신인재4.0 사업과 한국형 ARPA-H 사업의 지원으로 진행됐다. ‘Older Age Threshold for Oxaliplatin Benefit in Stage II to III Colorectal Cancer’(2~3기 고령층 대장암환자의 옥살리플라틴 효과분석)이라는 제목으로 미국의학협회(JAMA)에서 발행하는 ‘JAMA Network Open’(IF=10.5)에 게재됐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아에스티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