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정책사회
교육 수준 낮으면 자살률 최대 13배 … 자살 불평등은 최근 10년간 35.4% 완화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1-08 16:08:54
기사수정
  • 기명 고려대 의대 교수팀, 상관관계 분석 … 자살예방 등 사회안전망 강화 필요

기명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팀(제1저자 황민지 연구원)은 1995년부터 2020년까지의 성별, 연령별, 교육수준별 자살 추세를 조사한 결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자살률이 높은 것이 재확인됐다고 밝혔다.

   

30~44세 청년 남성 중 초등학교 졸업 이하인 사람은 대학교 졸업 이상인 동일 연령 및 성별의 사람에 비해 모든 조사시기(1995~2020년)에서 자살률(인구 10만명당 자살자 비율이 6.1~13배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30~44세 초등학교 졸업 이하인 남성 집단의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2015년에 288.2, 2020년에는 251.4이다. 이는 우리나라 평균 자살률인 27.3의 약 10배에 이른다. 또 전세계에서 가장 높은 자살률을 기록했다고 알려진 캐나다 극지 누나부트(Nunavut) 부족의 자살률의 2배 이상, 브라질 아마존의 과라니(Guarani Kaiowa) 부족의 자살률인 232보다 높다.교육수준별 최근 25년간 인구 10만명 자살자수

국내 자살률은 2010년까지 급격히 증가하다가 이후 점차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자살률의 계층별 불평등 추세(slope of inequality index, SII)는 낮을수록 평등한 것을 의미하는데 2010년 인구 10만명 당 62.4명의 계층간 자살자 격차가 2020년에는 40.3명으로 줄어 불평등이 35.4% 감소한 것으로 추산됐다. 

   

연구팀은 한국의 자살률이 계층 간 격차가 크고, 특히 교육수준이 낮은 계층에서 높게 나타난다고 결론지었다. 초등학교 졸업 이하의 남성 집단의 높은 자살률은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앵거스 디튼(Angus Deaton)가 역설한 ‘절망의 죽음’ 이론을 연상시키며, 일상에서 경험하는 절망감이 자살로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는 자살이 계층 간 사회적 격차와 정서적 전이가 반영된 결과임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기명 교수는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정신적 고통과 자살을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이라며 “사회경제적 불리함이 실패의 낙인이 되고 정신적 고통으로 강하게 이어지지 않도록 사회적 완충 장치들이 동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컨대 가난, 전세사기 등 사회적 위기와 정신건강 문제를 분리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다뤄야 하고 자살의 격차를 줄일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기 교수는 “정부가 국민을 대상으로 한 ‘마음투자지원사업’ 등 심리적 지원을 확대하고 있으나, 자살 예방을 위해서는 사회적 문제와 관련된 행정적 지원이 더 강화돼야 한다”며 “정책 집행이 사회적 약자층의 입장에서 사회적 존중과 배려로 인식할 수 있는 정도에 이르는 게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사회의학 분야의 저명한 저널인 ‘Social Science and Medicine’(IF=4.9) ‘자살률 증가와 감소 시기 자살 불평등의 변화: 1995-2020년 한국의 상황’(Changes in suicide inequalities in the context of an increase and a decrease in suicide mortality: The case of South Korea, 1995-2020)이라는 제목으로 작년 12월 게재됐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원자력병원
인제대학교백병원
고려대학교의료원
중앙대병원
한림대병원
카톨릭중앙의료원
부광약품
동화약품
존슨앤드존슨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