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26일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를 통해 국립중앙의료원의 신축 이전과 중앙감염병병원 건립을 위한 도시관리계획 변경안이 통과됐다고 밝혔다.
이번 변경안은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주변 지구단위계획 및 미공병단 부지 특별계획구역 세부 개발계획에 대한 변경 내용을 담고 있다. 내년 1월 중 변경 결정이 고시될 예정이다.
이번 승인으로 국립중앙의료원이 이전할 예정인 서울 중구 방산동 42,307.8㎡ 부지가 종합의료시설로 지정되며, 해당 부지에 국립중앙의료원과 중앙감염병병원의 건축이 가능해졌다. 이번 건립 계획은 노후화된 기존 국립중앙의료원의 시설 한계를 극복하고 국가 필수 의료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국립중앙의료원 신축이전 프로젝트는 지하 4층, 지상 15층 규모로 설계됐으며, 연면적 196,172㎡, 총 776병상의 규모를 자랑한다. 이 중 526병상은 일반 병상으로, 150병상은 음압병상, 나머지 100병상은 외상병상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현재 기본 설계가 진행 중이며, 2026년 착공 후 2028년 말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통령 공공보건정책관은 "국립중앙의료원 신축이전 사업에 필수적인 도시관리계획 변경 절차가 서울시와의 협력을 통해 마무리됐다"며 "국립중앙의료원이 국가 필수 의료의 중심 기관으로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국립중앙의료원 신축이전과 중앙감염병병원 건립은 국가 의료 안전망 강화와 감염병 대응 역량 확대를 목표로 하며, 기존의 시설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의료 인프라를 확충해 중증 의료 및 감염병 대응을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사업은 총 사업비 약 1조 6,272억 원이 투입되며, 국민건강증진기금, 기부금, 응급의료기금 등 다양한 재원을 통해 추진된다. 1958년 설립 이래 필수 의료의 중심 역할을 담당했던 국립중앙의료원이 새로운 위치에서 강화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