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의룡 중앙대병원 교수, 바이오세라믹 3D프린팅 인공 광대뼈 재건 효과 입증
- 티타늄 등 금속성 소재 3D프린팅을 활용한 환자 치료가 의료계 다양한 진료 분야에서 시도되고 있는 가운데, 처음으로 비금속 바이오세라믹 3D프린팅 인공 광대뼈 이식을 통한 재건의 효과와 안전성을 입...
- 2020-12-14
-
- 배상철 한양대류마티스병원 교수, 루푸스 발병의 새로운 원인 유전자 46개 세계 최초 규명
-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 대상 대단위 유전역학 연구에서 대표적인 난치성 자가면역질환인 전신홍반루푸스(루푸스)의 발병과 연관된 46개의 새로운 원인 유전자이 세계 최초로 발견됐다.
한양...
- 2020-12-14
-
- ‘TM4SF5’단백질, 지방간·간 섬유화 유발 증명
-
국내 연구팀이 ‘TM4SF5’ 단백질이 지방간 뿐 아니라 지방간염과 간섬유화 증가 등 다양한 간 질환 상태를 유발함을 증명했다. 세포막단백질 TM4SF5는 기존 연구를 통해 간 섬유화 및 간암과 관련성이 있다...
- 2020-12-14
-
- 심태보 연세대 교수, ‘프로탁(PROTAC)’ 특성 지도제작 및 통합 지침 제공
- 세포 내 신호전달 기능을 담당하는 인산화효소인 키나아제(kinase)는 혁신 신약개발의 분자 표적으로서 주목받아 왔다. 약물의 표적단백질을 분해하는 전략은 현재 신약개발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
- 2020-12-11
-
- 연세대-카이스트 연구팀, 난치 미만형 위암 악성화 기전 최초 규명
-
정재호 연세대 의대 교수팀과 김필남‧최정균 KAIST 교수팀이 학제간 융합연구를 통해 종양 미세환경의 물리적 인자(세포기질의 강성도 증가)가 암세포의 악성화를 촉진하는 분자후성유전학적 원인을 최...
- 2020-12-09
-
- 박상구 건국대병원 병리사-박관 교수, 수술 중 청신경 손상 예방을 위한 ‘사전 경고 기준’ 최초 제시
- 박상구 건국대병원 선임 임상병리사와 박관 신경외과 교수가 수술 중 청신경감시검사에서 청신경 손상 여부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는 새 기준을 개발해 세계수술중감시학회(International Society of Intraoperative...
- 2020-12-08
-
- 개개인 유전자에 따라 고지혈증 약제 효과 3.7배까지 차이
-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들은 자신이 어떤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가에 따라 환자 치료에 쓰이는 고지혈증 약제 효과가 최대 3.7배까지 차이 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학 연세대 의대 내과학교...
- 2020-12-08
-
- 고윤호 은평성모병원 교수, 예후 나쁜 두경부암 맞춤형 치료 가능한 바이오마커 최초 발견
-
치료가 어렵고 생존율이 낮은 것으로 알려진 두경부 편평세포암의 특징을 파악해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바이오마커가 발견됐다.
고윤호 가톨릭대 은평성모병원 종양내과 교...
- 2020-12-07
-
- 진행성 유방암 수술 전 항암치료 반응, 인공지능으로 조기 예측
-
우상근·김현아 한국원자력의학원 박사팀이 국소 진행성 유방암으로 수술 전 항암치료를 받은 환자의 항암치료 반응을 인공지능(AI) 기술 중 딥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조기에 예측할 수 있다고 4일 밝혔다...
- 2020-12-04
-
- 조혈모세포 이식 합병증 예방 가능해진다
-
신동엽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연구팀은 체외 조혈모세포로부터 ‘T림프구 전구세포’를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4일 발표했다. 혈액종양 환자가 조혈모세포 이식 시 T림프구 전구세...
- 2020-12-04
-
- 강선미‧박정현 부산백병원 교수, “테스토스테론이 인슐린 분비 베타세포 보호”
-
인제대 부산백병원은 강선미‧박정현 내분비대사내과 교수팀이 최근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인체의 에너지 대사를 조절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췌장 베타세포(β-cell)의 노화와 사멸을 억제...
- 2020-12-03
-
- 이호원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교수, 장비골건 부위에서 최소 절개로 자가건 채취방법 개발
- 한림대 강남성심병원이 이호원 정형외과 교수의 건 재생 관련 연구가 SCI급 학술지인 미국스포츠의학회지(AJSM: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8월호에 게재됐다고 1일 밝혔다. AJSM은 정형외과 관련 SCI급 학술...
- 2020-12-01
-
- 정욱진 길병원 심장내과 교수, 국내 첫 폐동맥고혈압 유전자 특성 연구결과 발표
-
정욱진 가천대 길병원 심부전폐고혈압센터 교수(심장내과)는 ‘한국인의 특발성폐동맥고혈압 유전자 특성’을 주제로 한 국내 첫 연구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정 교수는 특발성 및 유전성 폐동맥고혈...
- 2020-12-01
-
- 송재진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맥박소리 들리는 ‘박동성 이명’ 귀 뒤 정맥수술로 치료
-
송재진 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연구팀(제1저자 이상연 진료전문의)이 세계 최초로 S상 정맥동 이상에 의한 박동성 이명 환자의 장기 수술효과를 30일 소개했다.
이명 현상은 귀에서 ‘삐-’ ...
- 2020-11-30
-
- 김세웅‧배웅진 서울성모병원 교수, 난치성 방광질환 줄기세포 치료효과 확인
-
신경손상이나 당뇨병 등으로 인한 난치성 방광질환인 ‘신경인성방광’을 줄기세포로 치료하는 길이 열렸다.
김세웅‧배웅진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비뇨의학과 교수팀이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
- 2020-11-30
-
- 머신러닝 기반 심혈관질환 진단기술 개발
-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기계학습)을 기반한 심혈관질환 진단기술이 개발됐다. 시간을 다투는 관상동맥중재술 현장에서 환자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김중선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
- 2020-11-26
-
- 만성 이명 환자의 인지장애 발생 예측 바이오마커 규명
-
김영호 서울시보라매병원 이비인후과 교수가 만성 이명 환자에서의 인지장애 발생을 조기에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규명한 내용의 연구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인지장애란 기억력과 판단력, 언...
- 2020-11-25
-
- 서울대병원, “RNA패널”로 숨은 암 유발 변이 유전자까지 찾아낸다
-
서울대병원 정밀의료센터·병리과는 융합유전자변이 탐지 성능을 높인 RNA 패널검사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서울대병원 자체 기술로 개발한 RNA 패널검사는 기존 DNA 패널검사 대비 검출 성능이 우수하...
- 2020-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