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릎 인공관절수술 후 신장손상 부작용 위험, 인공지능이 알려준다
- 퇴행성 무릎관절염으로 인공관절치환술을 받은 환자의 상당수에서 발생하는 급성신장손상 위험을 예측하는 프로그램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서울대병원은 노두현 정형외과 교수팀(이명철·한...
- 2021-02-16
-
- 가톨릭대·포항공대 연구진, 소장 캡슐내시경 영상판독 딥러닝 알고리즘 개발
-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소장 캡슐내시경 영상 판독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이 96%이상의 높은 판독 정확도를 입증했다.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은 이한희 소화기내과 교수 연구팀(서울성모병원 소화...
- 2021-02-16
-
- 유두 침범 진행성 유방암 환자, 유두·피부 보존 절제수술도 안전해
- 영상 소견에서 유두에 종양 침범이 의심되는 경우라도 선행 항암치료 후 유두하 동결절편 검사 결과가 음성으로 확인되면 유두 보존 절제술이 가능하고 추후 암 재발없이 안전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
- 2021-02-15
-
- 원자력병원, 국내 첫 유방암 HER2 발현 PET/CT 진단 임상시험 실시
- 한국원자력의학원 유방암 연구팀(외과 노우철·김현아, 핵의학과 임일한·이인기, 방사성의약품개발팀 강주현·김광일)은 유방암의 인간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2(HER2) 발현 여부를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 2021-02-15
-
- 국산 보툴리눔톡신 ‘휴톡스’, 미간 주름 개선 효과 높고 안전
- 중앙대병원은 피부과 유광호·김범준 교수팀이 건국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과 공동 연구해 새로운 국산 보툴리눔톡신(HU-014, 휴톡스®)의 미간주름 개선 효능 및 안전성을 평가한 임상연구 논문(Efficacy and S...
- 2021-02-09
-
- 저체중 암 생존자,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 높아
- 암 진단 전 저체중이었던 암 생존자는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암 생존자는 완치 판정을 받았거나 오랜 시간 재발하지 않는 사람이다. 서울대병원은 가정의학과 박민선 교수팀...
- 2021-02-09
-
- 중증 알코올성 간염, 장내 미생물 변화 통해 진단·예측 가능
- 장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변화를 통해 중증 알코올성 간염의 진단 및 예측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중증 알코올성 간염은 과다한 알코올 섭취로 인한 알코올성 간질환 중 가장 심한 상태로 치료하지 않으...
- 2021-02-09
-
-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국내 첫 경피적 대정맥 판막 치환술 성공
-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심뇌혈관병원 장기육 교수가 국내 처음으로 중증 삼첨판 폐쇄부전증을 앓고 있는 여성 환자에게 수술을 하지 않고 경피적으로 대정맥 판막 치환술을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 2021-02-08
-
- 하부 직장암 수술 시 항문 보존, 환자의 삶의 질 높아
- 강성범 분당서울대병원 외과 교수팀이 항문에 근접한 하부 직장암 환자 중 항문을 보존하는 ‘괄약근보존술’을 받은 환자와 항문을 제거하는 ‘복회음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삶의 질을 비교한 결과 ‘...
- 2021-02-08
-
- 생존율 낮은 식도암, 적극적 치료 시 생존율 기대치 상승
- 낮은 생존율을 보이는 식도암도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할 경우 생존율 기대치를 끌어올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조재일·김홍관 폐식도외과 교수, 신동욱 가정의학과 교수팀이 식...
- 2021-02-05
-
- 약물 독성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난청, 줄기세포치료 효과적
- 박경호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이비인후과 박경호 교수팀은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용해 이독성 난청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청력 회복 여부를 확인한 결과, 줄기세포 주입군에서 3주 후부터 청력...
- 2021-02-04
-
- 췌장암 조기진단 혈액검사 기술 개발, 진단 정확도 93% 상회
- 췌장암을 조기에 약 93%의 정확도(AUC)로 진단할 수 있는 혈액검사 기술이 개발됐다. 서울대병원은 의공학교실 김영수·간담췌외과 장진영 교수팀이 질량분석기 다중반응검지법(MRM-MS)을 이용, 췌장암 조기 ...
- 2021-02-03
-
- 중·노년 여성 다발 눈물흘림증, 보톡스 사용 치료효과 높아
- 중년 및 노년 여성에게 흔한 질환인 눈물흘림증의 치료에 보툴리눔 톡신을 사용할 경우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건국대병원은 안과 신현진 교수가 보툴리눔 톡신을 눈물흘림증 치료에 사용, 약...
- 2021-02-03
-
- 수면 무호흡증 환자 치료 시 자동 양압기 수치에 100% 의존해선 안돼
- 수면 무호흡 환자 치료 시 자주 사용하는 ‘자동 양압기’ 수치에 100% 의존해서는 안 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아주대병원은 이비인후과 김현준·박도양 교수팀이 수면 무호흡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
- 2021-02-03
-
- 비만한 1형 당뇨환자 위소매절제술, 증상 개선 효과
- 순천향대서울병원은 외과 김상현 교수와 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 외과 김용진 연구팀이 1형 당뇨를 가진 고도비만 환자에게 위소매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효과가 사실을 규명했다고 3일 밝혔다. 1형 당뇨...
- 2021-02-03
-
- 정상 체중에서도 대사질환 위험 9개 유전자 변이 발견
- 정상 체중이어도 대사적으로 위험한 사람과 비만이지만 건강한 사람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유전자 변이 연구결과가 발표됐다.이지원, 박재민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유전체 분석...
- 2021-02-03
-
- 경증·중장년층 장애인, 일반인 대비 심혈관질환 사망률 높아
- 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비해 심혈관질환으로 사망하는 비율이 높지만 중증보다는 경증 장애인이, 노년층보다는 50대 이하 중장년층 장애인의 사망률이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른 심혈관질환 위...
- 2021-02-01
-
- 노화 따른 수면패턴 악화, 여성에서 두드러져
- 노화에 따른 수면문제가 남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특히 여성에서 두드러진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 연구팀이 한국 노인의 수면 특성을 남녀로 구분...
- 2021-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