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분절 척추관협착증, 양방향 척추내시경 최소침습수술법(BESS) 치료 효과 우수
- 척추내시경을 이용한 최소침습적 후방감압술이 미세현미경을 이용한 기존 수술법보다 다분절 척추관협착증 치료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박섭리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교수, 은동...
- 2023-03-16
-
- 전흥재 가톨릭대 교수팀, 무릎연골 재생할 줄기세포 플랫폼 개발
- 전흥재 가톨릭대 의대 의생명과학교실 교수(세포조직공학연구소장) 연구팀이 하이드로젤 기반 줄기세포 배양 플랫폼을 개발하며 무릎연골 재생의 기반을 제시했다. 연골은 한 번 손상을 입으면 자가 ...
- 2023-03-15
-
- 연세대 의공학교실, 혈관 협착 막는 투석혈관 기기 개발
- 연세대 의대 의공학교실 연구팀이 혈액투석 부작용을 예방하는 투석혈관 조성술 기기를 개발했다. 이 교실 성학준 교수, 하현수 강사, 이찬희 연구원 등은 말기 신부전 환자가 받는 투석혈관 조성술에서 ...
- 2023-03-15
-
- 강북삼성병원, 눈을 통해 파킨슨병 뇌신경계 기능 예측 알고리즘 최초 개발
- 윤원태 성균관대 강북삼성병원 신경과 교수·송수정 안과 교수, 신지태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안저사진을 통해 파킨슨병 관련 질환 환자의 ...
- 2023-03-15
-
- 조영재 분당서울대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폐 초음파 검사, 코로나19 진단 및 모니터링에 도움
- 조영재 분당서울대병원 호흡기내과 교수가 참여한 국제 연구진이 팬데믹 시기 코로나19의 진단과 질환 관리에 있어 폐 초음파의 역할을 다룬 리뷰 논문을 유...
- 2023-03-14
-
- 편도 및 아데노이드 비대 수술 환아, 수술 후 키 성장 가능 기대
- 한두희 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한승철 임상강사)·이윤정 소아청소년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편도 및 아데노이드 수술을 받은 어린이의 키·몸무게·비만...
- 2023-03-14
-
- 노화된 뇌막 속 쌓인 ‘당’(최종당화산물)이 뇌보호기능 장애 유발 과정 규명
- 노화에 따라 뇌막(뇌수막)에 당 분자가 축적되고, 뇌막 생성세포의 변화가 일어나는 게 확인됐다. KAIST는 바이오및뇌공학과 김필남 교수, 정용 교수 공동 연구...
- 2023-03-13
-
- 정우현 분당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교수, 늑간신경통 없는 폐암 로봇 수술법 개발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및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2021년 국내 폐암 환자 수는 약 11만 명으로 2017년에 비해 약 30%가 증가했다. 갑상샘암을 제외한 암 중 발병률 ...
- 2023-02-27
-
- 당뇨 전단계 환자 3분의 1, 대사증후군 동반 …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 커져
- 장슬아, 김철식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교수팀은 당뇨병 전단계 환자에게서 대사증후군이 동반될 경우 심혈관질환 발생의 위험성이 높아진다...
- 2023-02-21
-
- 심근경색 후 뇌졸중·심부전 예방엔 ACEI 제제가 ARB보다 우위
- 관상동맥이 혈전으로 인해 갑자기 막혀 심장근육이 괴사하는 심근경색 환자에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I)를 복용한 그룹이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RB)를 복용한 그룹보다 뇌졸중과 심부전 발...
- 2023-02-21
-
- 세브란스 소화기내과 연구팀, 담도암 액체 생검 진단 기술 개발
- 방승민, 조중현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연구팀은 임형순 하버드 의과대학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교수 연구팀과 함께 세포외소포를 활용해 담도암을 조...
- 2023-02-21
-
- 근적외선 형광조영제, 수술 중 실시간 혈관 및 암 동시 탐색 가능
- 기존의 암수술 방법은 암조직의 완전한 절제를 위해 정상 부위까지 광범위하게 절제해 후유증이 크다. 최근엔 수술 후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정상조직은 최대...
- 2023-02-20
-
- 헬리코박터, 위장관 마이크로바이옴 최신지견 발표 ‘HUG 2023’ 3~17~18일 개최
- 대한상부위장관·헬리코박터학회는 오는 3월 17~18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31차 대한상부위장관·헬리코박터학회 연례 학술대회, 4차 국제 상부위장관·헬리코박터학회 연례 학술대회, 19차 한일 헬...
- 2023-02-17
-
- 당뇨병약 피오글리타존 복용하면 치매위험성 16% 낮아진다
-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김어수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김광준 노년내과 교수, 연세대 의대 남정모 예방의학 교수, 하정희 정신과학 교수, 최동우 국립암센터 암빅데이터센터 박사 공동 연구팀은 당뇨병 환자...
- 2023-02-16
-
- 신바이오틱스, 복통 없는 기능성 설사 증상 완화
- 잦은 대변, 묽은 변 등 흔히 알려져 있는 과민성대장증후군과 증상은 비슷하지만 복통을 동반하지 않는 기능성 설사의 증상을 신바이오틱스로 완화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김규남 아주대병원...
- 2023-02-15
-
- “파킨슨병 환자 운동할 때 항우울 효과 뚜렷”
- 파킨슨병 환자가 신체운동을 하면 뚜렷한 항우울 효과를 본다는 내용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김률 인하대병원 신경과 교수, 강년주 인천대 체육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은 최근 미국신경학회지(Neurology, if=8.77...
- 2023-02-13
-
- 공포스러울 때 활발해지는 편도체 … 뇌졸중 예후 예측 새 지표로 확인
- 뇌졸중 환자의 예후를 예측할 새로운 가능성이 제시됐다. 공포, 불안, 스트레스를 느낄 때 활성화되는 뇌 속 ‘편도체’의 대사활동이 활발해지면 뇌졸중 환...
- 2023-02-09
-
- 노인 급성골수성백혈병 베네토클락스+데시타빈 병용요법 효과 첫 입증
- 고령화로 늘고 있는 혈액암 중 하나인 급성골수성백혈병에 대한 새로운 조합의 항암 신약 병용요법의 효과가 국내에서 처음 입증됐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 혈액내과 조병식(교신저자)·곽대...
- 2023-02-07
- 최신뉴스
-
-
박세우 동탄성심병원 교수, 국내 최초 말기암 ‘초음파내시경 유도하 회장결장연결술’ 성공
-
식약처, 고혈압·당뇨병 치료 표방 해외직구 식품 22개 제품서 불법성분 적발
-
365mc-삼보벤택, 지방흡입 사후관리 특화 차세대 고압산소시스템 개발 협약 … 지방연소 촉진해 체중감량 도움
-
서타라-셀트리온, 신약개발 역량강화 전략적 MOU … 글로벌 규제기관 기준 충족 첨단 모델기반 약물개발
-
KMI, 검진 고객 모바일 소통채널 ‘크미랑’ 친구 100만명 돌파 … 1년만에 두배로
-
삼성바이오로직스, 인적분할로 순수 지주회사인 삼성에피스홀딩스 신설
-
폐경전 저위험군 자궁내막암, CA125 수치 높아도 림프절 절제술 필수 아냐
-
질폐쇄술, 고령 여성 골반장기탈출증에 안전하고 효과적 … 환자만족도 98.4%
-
이혁준 서울대병원 교수, 국제위암학회 제16회 학술대회서 차차기 회장 선출 … IGCC2029 유치에 기여
-
동국제약, 도봉산서 ‘제28회 국립공원 산행안전 캠페인’ … 안전 산악문화 정착, 마데카솔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