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전파 시작 가능성 높아, 환자 급증 대비해 체계적인 환자 관리 시스템으로 전환 필요
주말 동안 발생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29번(82세·남성)과 30번(68세·여성) 환자는 아직 감염원이 밝혀지지 않았다. 80대 노부부인 이들은 해외여행 경력도, 확진자들과 확인된 접점도 없다. 한마디로 통제 범위 밖에서 발생한 환자다. 지역사회 전파가 시작된 신호가 아니냐는 우려와 함께 방역 방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감염 경로 확인되지 않은 29번·30번 환자 발생, 지역사회 전파 우려
보건당국의 발표에 따르면 15일 29번 환자는 흉부 불편감을 호소하며 동네 병원 두 곳에 들렀다가 고려대 안암병원 응급실로 내원했다. 심근경색증을 의심했으나 X-레이와 컴퓨터단층촬영(CT)에서 폐렴 소견이 확인됐다. 이 곳 응급의학과 교수는 직감적으로 환자를 음압격리실로 격리 조치하고 코로나바이러스 검사를 진행했다. 16일 새벽 환자는 양성 판정을 받고 서울대병원으로 이송됐다.
29번 환자의 부인인 30번 환자도 같은 날 서울대병원으로 격리 이송돼 입원했으며 16일 밤 확진 판정을 받았다. 두 환자 모두 해외 여행력이 없고 확진자와 접촉한 이력도 확인되지 않았다. 처음으로 국내에서 발생한 방역망 밖의 환자다. 아직 감염경로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지역사회 감염이 시작된 신호가 아니냐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지역사회 감염은 한번 뚫리면 걷잡을 수없이 확산될 수 있다. 지금까지 국내 방역 시스템은 출입국 통제에 집중돼 있었다.
정부 “지역 전파 막겠다”, 폐렴 환자 전수조사 및 요양병원 관리 강화
당국은 감염원을 찾기 위해 노부부 환자의 이동 동선 확인 등 역학조사에 집중하는 한편 지역사회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선제적인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중앙사고수습본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17일부터 감염병 등에 취약한 전국 1470여개 요양병원을 실태조사해 중국 등 해외여행 이력이 있거나 기침·발열 등 관련 증상을 보이는 관계자들을 업무에 배제시키겠다고 발표했다.
또 전국 폐렴 환자를 전수조사해 혹시 모를 감염자를 찾아내는 한편 중증호흡기 감염병 감시체계(SARI, 현재 13개 병원) 및 인플루엔자 실험실 표본감시체계(현재 52개 의원)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검사를 추가하기로 했다.
새 학기가 돼 입국하는 중국인 유학생은 원격수업을 통한 학점 이수나 휴학을 유도하고. 이미 입국한 학생은 입국할 때, 입국 후 14일, 14일 종료 후 3단계로 나눠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전문가들 ‘지역사회 전파 가능성 높다’ … 늘어날 환자에 대비해야
전문가들은 지역사회 전파가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역학조사 결과를 기다려봐야겠지만, 한 명 이상의 지역감염 환자가 나타나면, 지역사회 전파가 시작됐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역사회 전파가 시작되면 방역 방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입국자 체크와 확진자 추적 등 원천봉쇄 방식에서 지역사회 확진자를 빨리 찾아내고 격리치료하는 방식으로 바뀌어야 한다. 정부는 이를 위해 폐렴 환자의 전수조사와 인플루엔자 감시 체계에 코로나바이러스를 대상으로 추가하는 방침을 내놓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의견이다.
폐렴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가벼운 경증 환자도 충분히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는 만큼 독감(인플루엔자바이러스) 환자들에 대한 전수조사도 진행되어야 한다. 지금의 인플루엔자 감시체계는 실시간 대응이 어려우므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맞춰 기존 감시 시스템을 확대·강화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의료기관별로 역할을 나누고 체계적으로 환자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정비돼야 한다. 현재까지는 확진자 수도 적고 심각한 증상을 보이는 환자도 없다. 하지만 지역사회 전파가 시작되면 확진자 수가 급격히 늘고, 고령자·기저질환자·영유아·임신부 등 감염 취약자의 감염 가능성도 높아진다. 환자의 증상 정도에 따라 치료 병원을 달리해 효율적인 환자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검사와 치료 동선을 짜야 한다.
김우주 교수는 “보건소에서 확진자를 감별하고 보건당국이 중증도에 따라 시·도립 의료원과 상급 병원(대학병원 등)으로 배분해 다수의 환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정비돼야 한다”며 “특히 일반 환자와 감염자의 동선을 분리해 병원 내 교차감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장기화 가능성 다분, 공포감 대신 차분하고 체계적인 대응 필요
일부에서는 국내 지역사회 전파가 예견됐다는 의견이 나왔다. 신종 감염병의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지역감염이 나타나가 마련이라는 생각에서다. 일본·싱가포르·태국 등 이웃국가에서는 이미 지역감염이 발생했으며 WHO의 ‘코로나19 데일리 리포트’는 최근 우리나라를 ‘지역사회 감염 확인 또는 추정 국가’로 분류하고 1주일 전부터 지역감염자 발생 가능성을 예측했다.
지역사회 감염이 시작된다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 김우주 교수는 “신종 감염병은 국가와 의료기관, 국민이 손발을 맞춰 나가야 한다”며 “기본 감염예방 수칙을 준수하며 감염병 장기화에 대비해 공포감을 다스리고 차분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