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인지검사 센터는 ‘0원’, 병·의원은 20만~40만원 … 센터 의사·임상심리사 등 인력난 여전
치매국가책임제의 일환으로 전국에 설립된 치매안심센터로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환자가 몰리면서 그동안 치매 진료를 담당해 온 신경과 및 정신건강의학과 개원의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사실상 무상의료나 다름없는 치매 지원 정책에 애먼 1차 의료기관만 고사되고 있다고 항변한다. 일부 지역 보건소에 들어선 치매안심센터는 실상 인력부족 등으로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는 2017년 치매국가책임제를 시행하면서 전국 보건소 산하에 치매검사 및 환자관리를 전담하는 치매안심센터를 설치했다. 센터에선 협력의사가 만 60세 이상 신청자를 기초 면담한 뒤 환자 상태에 따라 선별검사, 진단검사, 감별검사 등 치매검사를 실시한다.
선별검사는 간이정신상태검사지(MMSE-DS)로 이뤄진다. ‘올해가 몇 년도인가’ ‘지금 무슨 계절인가’ 등 간단한 질문들로 인지기능 저하 여부를 판별한다.
검사 결과 인지기능 저하가 의심되는 노인은 다음 단계인 진단검사를 받는다. 진단검사는 신경인지검사인 서울신경심리검사집(SNSB, Seoul Neuropsychologic Screening Battery)과 한국판 세라드 치매진단검사(CERAD-K,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Korea)로 이뤄진다. 이들 검사는 기억력·언어능력·시공간지각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치매를 진단한다.
치매안심센터에선 선별검사와 진단검사 모두 무료다. 치매책임제 시행 이전엔 일반 병·의원에서 CERAD-K는 20만원, SNSB는 30만~40만원을 들여야 검사받을 수 있었다.
치매가 진단된 환자는 병원에서 컴퓨터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혈액검사를 받은 뒤 신경과 또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진찰을 거쳐 최종적으로 치매를 확진받게 된다. 기존엔 치매가 의심돼 병원에서 MRI를 찍으면 60만원 정도가 소요됐지만 치매책임제 시행 이후엔 14만~33만원만 부담하면 된다. CT 촬영 비용은 5만~6만원 선이다.
지난 9월 기준 전국에 256개 치매안심센터가 설치됐다. 치매로 확진된 환자 43만명을 포함, 총 262만명이 센터를 이용하고 있다. 센터가 늘면서 치매검사 건수도 급증했다. 1차 선별검사 건수는 지난해 3월 35만건에서 올해 8월 320만건으로 9배, 진단검사는 1만2000건에서 20만건으로 16배나 늘었다.
센터에선 검사 외에 치매 상태에 따라 인지강화교실, 치매쉼터 등 맞춤형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다. 인지강화교실은 원예치료, 음악치료, 미술치료 등을 실시해 치매 진행을 늦춘다. 치매쉼터는 경증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인지재활 및 단기 보호서비스를 제공한다. 환자와 가족에게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심층상담도 실시한다.
치매검사가 무료인 데다 연계된 치료프로그램까지 받을 수 있어 센터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이다. 센터에 치매 환자들이 몰리자 지역 중소병원과 신경과·정신건강의학과 개원의들은 직격탄을 맞게 됐다.
서울 관악구 M 신경과의원 원장은 “2년 전 치매국가책임제가 시행된 이후 내원 환자가 30%가량 줄어든 것 같다”며 “보건소 치매안심센터에선 치매검사가 공짜인데 병원은 왜 돈을 받느냐며 불만을 토로하는 환자도 적잖다”고 말했다. 이어 “무상의료에 가까운 치매국가책임제 탓에 의사를 장사꾼처럼 보는 인식이 확산되는 것 같다”며 안타까워했다.
한 종합병원 관계자는 “치매안심센터에서 선별·진단 검사를 받은 환자는 최종단계로 의료기관에서 감별검사를 받게 된다”며 “최근 치매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높아지면서 치매안심센터를 거친 뒤 병원에 내원해 MRI나 CT검사를 받는 치매 의심 환자가 크게 늘었지만 2017년 이후 치매 MRI검사가 급여화됐기 때문에 병원 수익에 실질적인 도움은 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치매안심센터에 너무 많은 환자가 몰리다보니 치료 시기를 놓치거나 잘못된 치료를 받을 위험도 있다. 대한치매학회 관계자는 “지금까지 병원에서 잘 관리되고 있던 치매 환자가 공짜라는 말에 혹해 치매안심센터로 옮기려고 했다가 한두 달씩 대기기간이 연장되면서 질환이 악화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며 “환자가 마냥 대기하다 악화되는 일이 없도록 센터 인프라를 확충하고, 민간병원과 공생해 진료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국에 들어선 치매안심센터 중 상당수가 인력 부족 등으로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승희 자유한국당 의원이 지난달 18일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 치매안심센터 256곳 중 238곳(93%)이 의사, 간호사, 임상심리사, 사회복지사, 작업치료사 등 필요한 인력을 채우지 못했다.
전문성 결여도 우려된다. 지난 9월 기준 치매안심센터에서 근무하는 협력의사 440명 중 33명은 신경과나 정신과 등 치매 전문의사가 아니었다. 김승희 의원은 “임상심리사와 신경과 의사가 부족해 검사의 전문성이 떨어지면 진단 오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며 “신속한 인력 채용 및 전문성 제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