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한국과 영국의 보건의료 분야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정보교류를 위해 ‘제2회 한-영 미래의료포럼’을 오는 16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 포럼은 양국 석학 간 교류를 통해 보건의료 분야 공동 연구과제를 발굴하고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발족됐다. 지난해 9월 영국 런던에서 ‘고령화 대비 미래의료 혁신기술 선도 및 바이오헬스 산업 공동 협력 방안’을 주제로 제1회 포럼이 개최됐다. 올해엔 세계적 이슈가 되고 있는 빅데이터와 관련해 한국에서 제2회 포럼을 ‘보건의료빅데이터: 도전과 기회’라는 주제로 개최한다. 금번 포럼은 4개의 세션으로 구성되고, 15개 과제(한국 7개과제, 영국 8개과제)가 발표될 예정이다.
1세션은 ‘보건의료 빅데이터 정책 추진방향’으로 한국의 보건의료 빅데이터 추진방향과 영국의 빅데이터 플랫폼을 소개한다.
영국은 고령화, 의료비 급증, 제약산업 생산성 저하 등 당면한 보건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빅데이터 활용에 주목하고 보건의료 빅데이터 전담 독립기구인 건강사회정보센터(HSCIC, Health & Social Care Information Centre)를 설립했다.
HSCIC는 국가건강서비스(NHS, National Health Service)의 진료데이터와 공중보건·사회보장 관련 데이터를 수집·저장·연계·분석해 데이터를 공개하고 있다. 이로써 다양한 보건의료서비스 개발을 지원하는 관리자이자 게이트웨이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정보공개 대상·범위·익명화수준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 개인정보 보호와 공공데이터의 공익적 활용이라는 두 가지 가치를 추구한다.
한국은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질병관리본부, 국립암센터 등 공공기관이 보유한 빅데이터의 잠재적 가치와 연계·활용의 가능성을 소개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공공기관 중심의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형 플랫폼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2세션은 ‘유전체기반의 빅데이터 활용방안’으로 양국의 바이오뱅크 현황 및 빅데이터의 구체적인 적용 사례를 소개한다.
바이오뱅크(인체자원은행)는 인체유래물, 유전정보, 역학정보, 임상정보 등을 수집·보존하는 것으로 유전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질병예측, 맞춤형치료 등에 필수적인 미래 보건의료 핵심 인프라로 부각되고 있다.
영국의 UK 바이오뱅크는 암, 치매, 뇌졸중, 심근경색, 당뇨병 등 주요 질환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50만명분 인체자원을 이미 확보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유전체 분석데이터(50만명), 건강정보(식이, 운동 등) 등을 추가로 수집해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이상적인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한국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질병관리본부) 및 17개 단위은행이 네트워크를 구축해 60만명분 인체자원을 확보하고, 원스톱 분양포털을 통해 인체자원 정보를 제공하고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 다부처 유전체 사업 등을 통해 생산될 10만명의 유전정보(2017년 예정)를 임상·체학 정보기록(Clinical & Omics Data Aechive, CODA)을 통해 분양함으로써 연구에 활용할 예정이다. 양국은 이렇게 생산된 인체자원 데이터를 기반으로 암, 치매 등 질병관리에 구체적으로 적용한 사례들을 소개한다.
한국은 국립암센터(암발생등록, 말기암환자), 건강보험공단(요양급여비용청구, 건강검진), 통계청(사망자료)을 연계해 암 진단 후 첫 치료까지의 기간, 첫 치료 의료기관의 연간 수술 규모에 따른 생존율을 분석했다. 이 정보를 통해 암환자 임상정보와 데이터가 결합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맞춤형 치료법 개발, 암위험도 예측, 새로운 진단법 개발, 암치료 비용-효율 분석 등 추진계획을 소개한다.
3세션은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모델 및 인프라기술 개발’로 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건강보험 데이터의 규모, 수집 내용, 데이터 공개 범위 등의 현황을 소개하고, 건강보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질병예방 근거 생성 등의 사례를 통해 건강보험 데이터 활용을 살펴본다. 유전체 역학정보, 암등록자료, 병원 전자의무기록(EMR) 등 다른 기관과의 데이터 활용이 미흡한 한계성과 연계 확대 필요성을 짚어 본다.
영국은 글로벌 제약사의 신약개발을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례와 알츠하이머병의 치료적 개입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적용 내용들을 발표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질병기호, 내원일수, 진료내역, 진료결과, 진료비, 처방·조제내역, 의약품 생산·수입·공급내역, 의료기관 시설, 건강보험 자격관리, 보수월액 등 14억건의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공개 및 활용한다. 심평원은 이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원격접속을 통한 자료 추출가능한 원격분석시스템을 제공하고 건강보험자료에 유전체 역학정보, 암등록자료, 병원 EMR,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등이 연계된 서비스 모델 개발과 연계 데이터 공개 확대 등을 발표한다.
4세션은 빅데이터 활용에 고려해야 할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과제로 개인정보 보호와 활용이라는 가치 충돌 문제, 데이터 소유권 및 사용권에 대한 문제 등을 균형있게 추진할 수 있는 방안 등을 살펴본다.
이번 포럼을 통해서 R&D, 정책개발, 임상진료 등에서 근거중심의 의사결정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도가 높아지고, 의료서비스·제약·의료기기 등 보건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협력사업 발굴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행사는 한국 보건복지부와 영국의 보건부 및 기업혁신부가 주최하고, 한국보건산업진흥원·주한영국대사관·런던헬스포럼이 주관한다. 학계 인사, 보건의료 빅데이터 관련 전문가 등 1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