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위암 발생률이 여전히 높지만, 사망률은 세계 최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내시경 검사가 위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절반가량 낮추는 ‘일등공신’인 것으로 분석됐다.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는 국가암검진사업 위암검진 성과와 학회의 질 관리 노력을 집약한 ‘국가암검진사업 위암검진 팩트시트(Fact Sheet) 2025’를 28일 공개했다.
이번 팩트시트는 위암검진의 중요성과 의미를 국민과 의료계에 정확하게 알리고, 과학적인 데이터로 정책과 임상 실천을 이끌어내기 위해 학회에서 직접 제작한 최초의 공식 종합 자료다.
이에 따르면 위내시경 검진은 위암 사망 위험을 49%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이는 위장조영검사의 5% 감소 효과와 비교했을 때 월등히 높은 수치다. 특히 한국은 2022년 기준 위암 발생률이 세계 3위로 높은 수준이지만, 사망률은 주요 위암 고위험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10만명 당 6.5명)으로 보고됐다. 이는 국가암검진사업을 중심으로 한 조기발견 체계가 매우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라고 학회는 설명했다. 
위암 검진이 꾸준히 늘면서 2023년 국가 위암 검진 수검자 중 93.4%가 내시경을 선택하는 등 내시경 중심의 검진 체계가 공고히 자리 잡았다. 검진 참여 독려와 내시경 질 관리 강화로 위암 진단 시 국한 단계에서 발견되는 비율(초기암 비율)이 약 70%에 육박했고, 그 결과 5년 상대 생존율이 2018~2022년 기준 78.4%에 이르렀다. 1990년대 초반 40%대 생존율 대비 크게 향상된 수치다.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는 팩트시트를 통해 위암검진에서 내시경 질 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소화기내시경 세부전문의 양성, 우수내시경실 인증제 확대, 감염 및 진정 관리 표준화 등 학회가 주도적으로 구축한 체계적인 질 관리 시스템이 위암검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부각했다.
정성우 고려대 안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국가암검진사업 위암검진 팩트시트 TF 팀장)는 “팩트시트는 단순한 통계 요약을 넘어,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가 책임지고 구축해 온 내시경 질 관리 체계와 국민 건강 향상을 위한 학회의 책임과 비전을 담은 의미 있는 자료”라며 “국민들이 마음 놓고 검진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