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글로벌뉴스
아센디스, 연골무형성증 치료제 ‘트랜스콘 CNP’ FDA 승인 신청
  • 주경준 기자
  • 등록 2025-04-02 10:01:11
  • 수정 2025-04-02 10:05:22
기사수정
  • 3건의 임상 및 3년 추적 자료 기반…근기능 개선·다리 변형 완화 등 효과 제시

덴마크 코펜하겐에 본사를 둔 아센디스파마(Ascendis Pharma)는 연골무형성증(achondroplasia) 치료제 후보 ‘트랜스콘 CNP(TransCon CNP, 나베페그리타이드 navepegritide)’에 대한 FDA 신약허가신청(NDA)을 제출했다고 3월 31일(현지시간) 밝혔다.


트랜스콘 CNP는 C형 나트륨이뇨펩타이드(CNP)의 주1회 투여형 전구체 약물로, 성장판과 골격근을 포함한 전신 조직 내 수용체에 지속적으로 활성형 CNP를 전달하도록 설계됐다. FGFR3 유전자의 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연골무형성증 환자에서 CNP 신호 경로를 정상화해 치료 효과를 유도하는 기전이다.


신약허가신청은 3건의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위약대조 임상시험과 최대 3년간의 오픈라벨 연장연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뤄졌다. 핵심 근거는 연골무형성증 소아를 대상으로 한 ApproaCH 2상(NCT04085523)이며, 성장속도 향상 외에도 근기능 개선, 다리 휘어짐(하지 만곡) 완화, 건강 관련 부담 감소 등 복합적인 치료 효과가 관찰됐다.


중추 임상인 ApproaCH 2상은  2~11세 소아 8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총 52주 투약기간동안 모든 환자가 주1회, 2:1 비율로 TransCon CNP 또는 위약을 투여받았다. 연구결과 연간 성장 속도(AGV)가 유의미한 효과를 제시했는데 평균 치료 차이는 1.49cm/년이다. 특히 5-11세 소아의 경우 이 차이는 1.78cm/년으로 더욱 두드러졌다. 또한 2세에서 5세 미만 그룹에서는 치료군의 성장 속도가 6.07cm/년으로 위약군의 5.06cm/년에 비해 1.02cm/년 증가를 보였다. 


또한 2차 평가지표로 살핀 연골무형성증환자와 동일 연령대 평균키와 비교한 ACH Height Z-점수와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의 동일 연령대 어린이의 평균 키와 비교한 CDC Height Z-점수에서도 유의미한 개선이 관찰됐다.


아센디스의 최고 의료책임자 에이미 슈(Aimee Shu) 박사는 “주1회 투여 방식과 위약 수준의 안전성 외에도 근력 향상, 통증 경감, 다리 만곡 개선 등 임상적 혜택은 트랜스콘 CNP가 차세대 표준 치료제로 자리 잡을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회사는 이번 FDA 승인신청에 이어 유럽의약품청(EMA)에도 2025년 3분기 중 허가신청서(MAA)를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골무형성증은 전 세계적으로 25만 명 이상이 영향을 받는 희귀 유전 질환으로, 섬유아세포성장인자 수용체3(FGFR3)의 활성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해 CNP 경로와 균형을 이루지 못하면서 발생한다. 골성장 장애를 주요 특징으로 하지만, 실제로는 신경계, 근육계, 심폐계 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증상을 동반한다.


영유아기에는 척추 변형, 뇌실 확장, 근력 저하, 만성 이통, 수면호흡장애, 고관절 문제, 다리 휘어짐 등 다양한 합병증이 나타나며, 일부는 성인기까지 지속되거나 악화된다. 이로 인해 반복적인 외과 수술과 지속적인 의료 개입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한편 연골무형성증 치료제로는 바이오마린 파마슈티컬스의 복스조고(Voxzogo, 보소리타이드)가 21년 8월과 11월 유럽과 FDA로부터 승인을 받은 유일한 약물이다. 1일 1회 피하주사제형이다.


TransCon CNP는 투약의 편이성을 높인 주 1회 제형으로 복스조고와 동일 기전의 전구약물에 해당한다. 즉 복스조고는 C-타입 나트륨 이뇨 펩타이드(C-type natriuretic peptide, CNP) 유사체(analog)이고 TransCon CNP는 반감기를 연장한 전구약물(prodrug)이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아에스티
정관장몰
차병원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한국다케다제약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
휴온스
하루 동안 이 창을 다시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