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30세 미만 당뇨병 환자, 심혈관·신장 합병증 위험 높아” … 사망위험도 3배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2-05 10:03:12
기사수정
  • 김성언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조원경 성빈센트병원 교수 공동 연구

30세 미만 당뇨병 환자에서 심근경색·뇌졸중 같은 심혈관질환 및 신부전 합병증 발생 위험은 물론 사망 위험도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김성언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와 조원경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한경도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NHIS) 표본 코호트(NSC)를 이용해 2006년부터 2019년까지 30세 미만 1형, 2형 당뇨병 환자의 대규모 장기 추적 연구를 진행한 결과를 5일 소개했다.

   

연구 결과, 소아 및 젊은 연령의 당뇨병 환자들은 일반인 대비 심근경색 발생 위험은 1형 당뇨병 환자에서 6.76배, 2형 당뇨병 환자에서 5.07배 각각 높았다. 뇌졸중 발생 위험도 각각 4.65배, 3.3배 증가했다.

   

신부전 발생 위험은 1형 당뇨병 환자에서 20.92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형 당뇨병 환자는 2.78배 높아졌다. 사망 위험은 일반인에 비해 1형 당뇨병에서 3.69배, 2형 당뇨병에서 3.06배 각각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연구는 젊은 연령에서 발병한 당뇨병이 성인기 이후 합병증 위험을 급격히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김성언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김성언 교수(제1저자)는 “젊은 연령에서의 당뇨병 발병이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이번 연구 결과는 공중보건 정책 수립에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라며 “예방적 관리 모델 개발과 장기 추적 연구를 통해 당뇨병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조원경 교수(교신저자)는 “이번 연구는 소아 및 젊은 연령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신장 합병증, 사망 위험 분석을 위한 대규모 코호트 연구로, 개방형 빅데이터를 이용해 국내 당뇨병 환자의 건강 실태를 정밀하게 평가한 데 의미가 있다”며 “장기적인 합병증 예방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혈당 관리가 필수적이고, 특히 소아 및 젊은 연령의 당뇨병 환자들은 성장기 동안 안정적인 혈당 유지가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논문은 미국당뇨병학회(ADA)가 발간하는 당뇨병 관련 세계 최고 권위의 SCI급 국제학술지 ‘Diabetes Care’(IF=14.8)에 게재됐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원자력병원
인제대학교백병원
고려대학교의료원
중앙대병원
한림대병원
카톨릭중앙의료원
부광약품
동화약품
존슨앤드존슨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