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가락이나 발가락 수가 정상보다 많은 선천적 기형인 다지증 또는 한쪽 엄지손가락이 2개 이상인 엄지손가락 다지증 치료 시 더 작고 기능이 없는 손가락의 뼈가 어느 정도 형성돼 있느냐에 따라 수술법도 달라져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김재광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교수팀은 엄지손가락 2개 중 더 작고 기능이 없는 손가락인 ‘잉여지’가 불완전한 뼈의 형태라면 간단한 절제술을 시행하고, 뼈가 완전하게 형성된 경우에는 뼈·관절·힘줄에 대한 수술 및 변형에 대한 교정 치료가 필요하다는 지침을 2일 제시했다.
엄지손가락 다지증은 단순 방사선촬영(X-ray)이나 자기공명영상촬영(MRI)을 통해 진단하며 상태에 따라 단순한 절제술 또는 복잡한 재건술로 치료한다. 손가락이 작을수록 수술이 쉽지 않고 변형을 판단하기 어려워 엄지와 검지 사이로 집기 시작하기 전인 1세 이전에 수술을 시행한다.
김재광 교수팀은 2016년 6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수술 받은 엄지손가락 다지증 환자 200례에 대해 분석했다.
분석결과 연구팀은 엄지손가락 다지증 200례를 기존 와셀-플랫 분류법에 따라 분류한 후 잉여지의 뼈가 불완전한 형태에 해당하는 76례를 ‘저형성 다지증’으로 구분하고 저형성증 여부에 따라 수술 방법이 달라져야 한다고 밝혔다.
저형성 다지증의 경우에는 불완전하게 형성된 뼈에 살 조직만 붙어 있어 간단하게 절제해 치료 가능하다. 당일 수술로 진행되며 회복도 빨라 수술 2주 후 바로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
반면 저형성증이 아닌 경우엔 잉여지가 정상적인 손가락이나 뼈, 관절 등에 붙어 있어 잉여지 제거 시 뼈 절제술이나 관절 재건술도 함께 진행돼야 한다. 이 중 30~40%는 변형 교정을 위해 절골술이나 핀 고정술 등 추가적인 수술이 필요하다.
김 교수는 “지금까지 저형성 다지증에 대한 별도의 분류체계가 없어 담당 의사의 경험에 의존해 수술 방법이 결정됐기 때문에 간단한 수술로 치료가 가능한 환자도 복잡한 수술을 받는 경우가 있었다”며 “앞으로는 저형성 다지증과 저형성 다지증이 아닌 경우를 정확히 진단하고 그에 따른 명확한 수술 계획을 수립해 엄지손가락 다지증 환자들의 부담을 덜고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수부외과 및 미세수술 분야의 국제 학술지인 ‘유럽수부외과학회지’(Journal of Hand Surgery-European Volume. IF=2.648)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