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생존율을 보이는 식도암도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할 경우 생존율 기대치를 끌어올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조재일·김홍관 폐식도외과 교수, 신동욱 가정의학과 교수팀이 식도암에 조건부 생존율 개념을 대입, 5년 장기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이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5일 밝혔다. 식도암 수술 후 장기 생존자들의 조건부 무재발률, 사망률, 생존율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기존 생존율 전망치는 진단 시점을 기준으로 환자의 5년 생존율을 평가하는 반면, 조건부 생존율은 치료 과정에 따라 특정 시점에 생존율을 재평가한다. 즉 수술 후 재발과 사망 확률이 변화하기 때문에 이를 반영해 재산정하는 것이다. 치료 후 시간이 지날수록 대체로 해당 질환과 관련해 재발률, 사망률이 감소해 생존율이 높아지게 된다.
연구팀은 1994~2016년에 삼성서울병원에서 수술한 식도암 환자 약 2915명 중 항암, 방사선 치료 등을 받지 않은 환자 1883명의 조건부 무재발률 및 생존율을 계산했다. 수술 당시 기준으로 이들 환자의 향후 5년간 무재발 전망치는 65.2%로 평가됐다. 하지만 5년이 지나 다시 평가했을 땐 91.9%로 크게 상승했다. 이는 수술 후 5년이 지나면 향후 재발 확률이 약 8% 수준으로 감소한다는 의미로 연간으로 따지면 재발 확률이 매년 1~2%에 불과하다.
전체 사망원인을 고려해 생존율을 계산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진단 당시 전망한 5년 생존율은 63.7%였지만 수술 후 5년 경과 시 75.8%였다. 식도암 환자들이 대체로 고령이라는 점을 감안하고 추가로 5년이란 세월의 부담을 더해도 생존율이 증가한 것이다.
암환자가 아닌 일반 대중의 생존율 기준으로 비교한 상대 생존율의 경우에도 수술 당시 예측한 5년 생존율은 70.2%였지만, 수술 후 5년 뒤에는 86.4%로 증가했다.
조재일 교수는 “한 동안 식도암은 치료 성적이 좋지 않았지만, 조기 발견이 이뤄지고, 수술과 항암치료 및 방사선치료 등 치료 방법이 좋아지면서 최근에는 치료 성적이 매우 좋아졌다”며 “이제 수술 후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관리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홍관 교수는 “암환자들의 상당수는 수술 당시 들은 5년 생존율을 기억하고 있고, 수년이 지나 상황이 좋아진 상태에서도 본인의 예후를 실제보다 나쁘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환자들의 수술 후 기간을 고려, 무재발률이나 생존율을 갱신해 환자들의 과도한 불안을 줄이는 근거로 삼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