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롤러를 활용해 대퇴사두근을 마사지하는 모습
폼롤러는 유연한 고무나 스펀지 소재로 가볍고 충격 흡수력이 좋은 원기둥 모양의 필라테스 소도구다. 한 손으로 들고도 남을 만큼 가볍고 복원력이 뛰어나 운동 전후 몸을 풀어주는 스트레칭, 속근육 강화운동에 쓰인다.
흔히 운동선수나 물리치료사들이 운동 후 근육의 과활성화를 방지하기 위한 자가근막이완(self-myofascial release, SMR) 요법으로 활용돼왔다. 근막통증을 유발하는 트리거포인트(압통점)를 찾아 30~60초 롤링하면 근육에 부드러운 압력이 가해져 자가마사지 효과로 근막이 이완되고 유연성이 높아진다. 축구선수 베컴은 어디든 이동할 때 짧은 폼롤러를 갖고 다닐 정도로 이를 애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볍게 롤링하며 쌓인 피로를 풀고, 라인까지 다듬을 수 있어 입소문을 타고 있다. 자신의 몸무게를 활용해 전신을 스트레칭하고, 무엇보다 손에 닿지 않는 부위의 근육까지 이완시켜 만족도가 높다. 퇴근 후 하루 10분만 투자하면 뭉친 근육도 풀고 균형 잡힌 라인을 만들 수 있어 시작해볼 만하다. 땀을 흘리는 등 부담스러운 운동이 아니라 고층아파트에 사는 사람도 부담없이 할 수 있다. 폼롤러는 가격대는 3만원대 정도부터 시작하므로 한번 마사지 받을 가격으로 매일매일 전신의 피로를 풀 수 있다.
폼롤러는 크게 45㎝ 정도로 짧은것과 91㎝의 긴 것, 원통형·반원형 등으로 나뉜다. 심으뜸 헬스티비 모델(필라테스 강사)은 “평소 운동량이 부족하거나 폼롤러로 중심 잡는 게 어렵다고 느껴지는 초보자는 반원형을 추천한다”며 “짧은 폼롤러는 마사지에 많이 사용되며, 특히 팔다리 근막을 이완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폼롤러는 척추기립근을 풀어주는 데 용이한데, 도구 위에 척추가 닿게끔 누운 상태로 시행하는 동작을 활용한다. 이런 경우에는 91㎝ 긴 원통형 폼롤러가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집에 폼롤러를 구비해두고 싶다면 여러 가지 마사지에 활용될 수 있는 91㎝ 원통형 폼롤러를 추천한다”고 조언했다.
이를 굴리고 문지르고, 스트레칭하는 횟수와 시간에 따라 정도가 다르지만 긴장된 근육조직을 풀어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심 강사는 뒷골이 자주 당기고 만성적으로 어깨가 뭉치는 사람은 아침저녁으로 폼롤러 마사지에 1분씩만 투자해도 3일이면 목, 어깨, 흉추 부위까지 부드러워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소개한다. 폼롤러를 베개처럼 벤 뒤, 끝을 양팔로 잡고 고개를 좌우로 1분 동안 움직여준다. 무리하게 가동 범위를 넓힐 필요 없이 편하게 움직일 수 있는 정도로 충분하다.
또 “폼롤러를 가로로 둔 상태에서 견갑골을 폼롤러에 대고 누운 뒤, 위아래로 10㎝ 정도 움직이면서 견갑골·흉추 부위를 자주 풀어주는 흉추마사지도 피로를 푸는 데 좋다”며 “5분 정도만 시행해도 척추 전체가 시원해지면서 머리까지 맑아지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심으뜸 헬스티비 필라테스 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