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일헌 강동 연세사랑병원 척추센터 부원장이 척추관협착증 환자와 상담하고 있다.
척추관협착증은 노화로 발생하는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으로 척추뼈 뒤로 척추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강’이 좁아지면서 통증이 발생한다. 40~50대 이후 척추관 주변의 인대와 관절이 두꺼워지는 것도 발병원인 중 하나다. 두꺼워지면서 발생한다.
신경이 압박받기 때문에 허리보다 엉치나 다리에 더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누워서 다리를 올리는 동작은 쉽지만 걸으면 통증이 심해 보행장애가 올 수 있다. 보행 중 앉으면 통증이 줄었다가 다시 걸으면 심해지는 양상을 보인다. 특히 밤에 종아리, 엉치, 허벅지, 발끝이 저리고 아프다.
최일헌 강동 연세사랑병원 척추센터 부원장은 “척추관협착증 환자의 15%는 시간이 지나면 증상이 좋아지지만 45%는 제 때 치료하지 않으면 수술이 필요할 만큼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며 “운동치료나 물리치료를 병행했는데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을 땐 시술을 받는 게 좋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수술이나 큰 절개가 필요 없는 ‘풍선확장술’이 도입돼 좋은 치료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치료법은 꼬리뼈를 통해 풍선이 내장된 가느다란 관 형태의 카테터를 척추관에 삽입한 뒤 풍선을 부풀려 좁아진 신경통로를 넓혀준다. 이 과정에서 협착 부위를 직접적으로 떼어내 신경 압박과 혈류장애를 해소한다.
최 부원장은 “풍선확장술 치료는 최소절개 후 지름 2㎜의 가느다란 관을 삽입하기 때문에 수술에 비해 출혈이나 흉터에 대한 부담이 적다”며 “국소마취 후 30분 안에 시술이 끝나 고령 환자에게도 무리없이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치료와 함께 평소 허리 건강에 도움되는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앉을 땐 허리를 곧게 편 자세를 취하고 틈틈이 허리를 스트레칭해 피로를 풀어줘야 한다. 걷기운동과 허리근력강화 운동은 척추관협착증 예방에 도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