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의학건강
소득 낮을수록 중증 저혈당 위험 최대 2.5배 높아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7-14 09:38:05
기사수정
  • 윤재승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환자 소득수준과 저혈당 발생 상관성 규명
  • 저소득층 지원과 맞춤형 관리 전략 필요 … 미국의학협회 학술지 JAMA Network Open 게재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중증 저혈당 발생 위험이 최대 2.5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윤재승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내분비내과‧김미숙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한경도 숭실대 보험통계수리학과 교수팀은 한국 국민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NHID)와 영국 바이오뱅크(UKBB)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2형 당뇨병 성인 환자 185만여명의 소득 및 임상적 특성을 심층 조사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14일 밝혔다.

   

환자 데이터를 소득 수준에 따라 4개 구간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저소득 환자군은 최상위 소득 수준 환자군에 비해 2형 당뇨병의 중증 저혈당 악화 위험이 약 2.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이상 의료급여를 지속 수급한 환자는 중증 저혈당 위험이 71% 증가한 반면, 5년간 소득이 꾸준히 증가해 최상위 소득군으로 이동한 환자는 저혈당 위험이 약 26% 감소했다.

   

이런 소득 수준과 중증 저혈당 발생 위험 간의 상관관계는 특히 △남성 △인슐린 미사용 환자 △만성신장질환 미보유자 △당뇨병 유병 기간이 짧은 환자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관찰됐다.   윤재승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내분비내과(왼쪽부터)‧김미숙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한경도 숭실대 보험통계수리학과 교수

윤재승 교수는 “중증 저혈당은 치명적인 당뇨병 합병증으로, 당뇨병의 사망률과 이환율을 증가시키고 의료비용 상승을 초래한다”며 “이번 연구는 당뇨병 관리에서 소득 수준이 실질적인 위험 요인임을 입증한 것으로, 저소득층을 위한 경제적 지원과 맞춤형 관리 전략이 중증저혈당 예방은 물론 사회적 비용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미국의학협회(JAMA)가 발행하는 국제 저명 학술지 ‘JAMA Network Open’(IF=10.5)에 게재됐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아에스티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