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의학건강
‘무릎 반월연골판 후방 기시푸 파열 치료 기준’ 전 세계 전문가 합의안 도출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7-11 13:35:19
기사수정
  • 이동원 건국대병원 정형외과 교수 등 국내 무릎 권위자 4인 국제 연구 참여
  • 연골판과 정강이뼈 연결 부위의 파열 … 중년여성, 좌식생활에 다발

전 세계 무릎 관절 권위자들이 모여 내측 반월 연골판 후방 기시부 파열의 진단과 치료, 재활에 대한 국제 합의안을 도출했다. 이번 연구에는 총 56명의 전문가가 참여해 3차에 걸친 설문조사(델파이 방식)를 진행했으며, 전체 문항의 98%가 합의 기준(75% 이상 동의)을 충족할 만큼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한국에서는 이동원 건국대병원 정형외과 교수를 비롯해 김진구 명지병원·김성환 강남세브란스병원·정규성 한양대 구리병원 정형외과 교수 등 국내 무릎 권위자 4명이 참여해 한국 의료진의 전문성을 입증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정형외과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 ‘관절경’(Arthroscopy)에 게재될 예정이다. 내측 반월 연골판 후방 기시부 파열은 무릎 관절 내의 연골판이 정강이뼈에 붙어 있는 ‘뿌리’(root) 부위가 끊어지는 질환으로 중년 여성, 특히 좌식생활을 많이 하는 아시아권에서 흔한 퇴행성 병변이다. 이 부위가 파열되면 연골판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 무릎 안쪽 관절염이 급속히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그동안은 진단이 어렵고 치료 방법에 대한 기준도 뚜렷하지 않아 임상 현장에서 혼선이 적지 않았다. 이에 대해 건국대병원 이동원 교수는 “이 파열은 실제 연골판이 없는 것처럼 작용해, 짧은 시간 안에 관절염이 악화하는 위험한 병변”이라며 “이번 국제 합의안은 진단, 수술, 재활에 이르는 전체 치료 과정을 표준화할 수 있는 중요한 지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56명 글로벌 전문가 중 90% 이상의 동의를 얻은 항목은 다음과 같다.

   

○ 진단

- 내측 반월 연골판 후방 기시부 파열은 외상없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고령, 비만, 여성, 내반 정렬이 주요 위험 인자다.

- 자기공명영상(MRI)은 진단의 중요 도구이다.

- 무릎 오금부 통증 또는 ‘뚝’ 소리, 과굴곡 시 불편감은 강력한 의심 증상이다.

- 체중 부하 X-레이(Rosenberg view)는 관절 간격과 정렬 평가에 필수적이다.

   

○ 비수술적 치료

- 3, 4기 관절염이나 광범위 연골 손상이 있는 50세 이상의 무증상 환자에게는 보존적 치료가 우선이다.

- 4기 관절염은 보존적 치료의 대상이다.

- 물리치료, 체중 부하 제한, 주사치료 등이 효과적인 비수술적 접근법으로 인정됐다.

- 3개월 이상 증상이 지속되면 수술 고려가 필요하다.

- 보존적 치료만으로는 관절염 진행을 막기 어렵다.

   

○ 봉합수술 적응증 및 술식

- 봉합술의 중기 결과는 내측 반월 연골판 절제술 또는 비수술적 치료보다 우수하다.

- 증상이 있고 연골 손상이 경미한 경우엔 가급적 조기 봉합수술이 권장된다.

- 65세 이상 고령자도 관절 상태와 활동성에 따라 봉합수술이 가능하다.

- 4기 관절염은 봉합수술 금기로 규정됐다.

- 봉합술을 고려할 때는 반드시 환자에게 수술 후 재활에 대한 제한 사항을 충분히 설명해야 하며, 그 내용에는 목발이나 보행기를 이용한 6주간의 체중 부하 제한 기간이 포함돼야 한다.

- 수술은 해부학적 위치에 Transtibial pull-out(경경골 끌어 당김 술식) 방식으로 시행하는 것이 표준이다.

- 봉합술 시 시행하는 내측 측부인대 이완술은 안전하며 수술 시야 확보에 유용하다.

   

○ 하지 부정 정렬 교정

- 내반 정렬이 5도 이상인 젊고 활동적인 환자는 근위 경골 절골술 동시 수술이 권장된다.

- 한 번에 시행하는 동시 수술이 단계적 수술보다 선호됐다.

   

○ 수술 후 재활

- 수술 후 4~6주간 비 체중 부하 또는 부분 체중 부하가 필요하다.

- 무릎 굴곡은 초기 90도 이하로 제한, 이후 점진적으로 확대한다.

- 재활은 단계별로 진행(관절 범위 운동 → 근지구력 → 근력 → 파워)해야 한다.

- 근력 대칭성 85% 이상 회복되면 6개월 후 스포츠 복귀가 가능하다.

- 통증이나 잠김 증상이 지속되면 MRI로 재파열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이동원 건국대병원 정형외과 교수이동원 교수는 “세계 각국의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하나의 치료 기준을 만든다는 것이 결코 쉬운 과정은 아니었다”며 “한국의 임상경험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번 합의안 도출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어 개인적으로도 뜻깊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형 치료경험을 세계 무대에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환자중심의 치료원칙을 세계 기준으로 정립하는 데 힘을 보태고 싶다”고 덧붙였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아에스티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