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추간판수핵탈출증(목디스크) 환자를 대상으로 최소침습 후방접근디스크제거술이 우수한 치료 성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천기·김치헌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팀과 성주경·김경태 경북대병원 신경외과 교수팀은 이같은 결과를 국제 저명 학술지인 ‘유럽척추저널(European spine Journal)’ 최신호에 게재했다고 2일 밝혔다.
정 교수팀이 목디스크 환자 22명에게 내시경을 이용한 후방접근 디스크제거술, 경북대병원 교수팀은 동일 질환과 같은 수의 환자에게 튜브 및 현미경을 이용한 후방접근 디스크제거술을 시행한 뒤 2년간 경과를 관찰한 결과 전체 환자 44명 중 38명(87%)에서 목과 팔의 통증이 현저히 줄었다고 답했다.
내시경수술을 받은 환자는 시각적 통증척도(VAS, Visual Analog Scale)의 평균 점수가 수술 전에는 목은 5.7, 팔은 6.4이었지만 수술 2년 후 각각 0.8, 0.9로 크게 줄었다. 튜브 현미경수술을 받은 환자도 VAS가 수술 전 목 7.3, 팔 7.7에서 수술 2년 후 각각 1.0, 1.0으로 크게 감소했다.
VAS는 0~10 범위 점수로 통증의 강도를 가시적으로 평가하는 척도다. 0은 통증이 전혀 없는 상태고 10은 통증이 참을 수 없을 만큼 심한 상태다.
후방접근 디스크제거수술 후 40%의 환자에게서 목의 전굴(목이 앞으로 굽은 상태, 거북목이라고 부름)이 호전됐다. 전굴이 악화된 환자는 한 명도 없었다.
목디스크 환자는 추간판 사이에서 터져 나온 수핵에 신경이 눌려 목을 제대로 펴지 못하게 한다. 보통 통증을 피하기 위해 목을 앞으로 굽히는데 이 과정에서 전굴이 생긴다. 수술로 병변을 제거하면 목의 전굴도 자연스럽게 호전된다.
기존의 목디스크 수술법은 목 앞을 절개해 신경을 누르는 디스크 전체를 제거하고 목 관절을 고정한다. 수술 후 목 앞쪽에 3㎝ 정도 흉터가 남고 목 움직임이 제한되는 게 단점다. 장기적으로 인접 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유발하기도 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삽입하는 인공관절은 시간이 지나면 기능이 상실돼 재수술이 필요하다.
반면 후방접근디스크제거술은 목 뒤를 최소한으로 절개한 뒤 내시경이나 현미경으로 신경을 누르는 디스크 조각만을 제거한다. 흉터가 목 뒤에 있어 잘 보이지 않고 기존 디스크를 그대로 두기 때문에 목 움직임이 제한되지 않고 인접 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줄일 수 있다.
정천기 교수는 “후방접근디스크제거술은 기존 수술법의 문제점인 목 운동 제한, 긴 재활기간 등 단점을 보완했다”며 “디스크 위치와 척수 압박 정도에 따라 수술이 제한될 수 있어 경험 많은 전문가와 상담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