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혁순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제1저자)와 최완수 교수(교신저자)팀은 인체에 과도한 염증반응이 일어나는 경우 ‘조절B세포’가 알레르기반응을 억제하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18일 밝혔다.
인체에는 외부에서 침입하는 물질에 대한 항체를 생산하는 일반적인 B세포 외에도 과도한 염증반응이 일어났을 때 면역관용(특정 조건하에 면역체계가 외부 물질에 반응하지 않는 것)을 유도하는 조절B세포가 존재한다. 조절B세포는 항염증성 단백질인 ‘인터루킨-10’(Interleukin-10)을 생산해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비만세포의 활성을 억제한다.
이번 동물모델 실험결과 조절B세포의 CD40수용체와 비만세포의 CD40리간드가 결합되면서 인터루킨-10의 분비가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비된 인터루킨-10은 비만세포의 주요 신호전달인자 활성을 막고 히스타민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해 급성 알레르기 반응을 조절했다.
연구팀은 “알레르기 유발인자에 의해 활성화된 비만세포가 조절B세포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알레르기반응이 억제되는 것을 규명했다”며 “이는 알레르기 반응을 조절하려면 면역세포간 균형이 중요함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알레르기반응을 지속적·영구적으로 억제하려면 조절B 세포 등 다양한 면역조절세포에 대한 연구를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혁순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다양한 면역조절세포를 기반으로 한 알레르기질환 치료에 중요한 학문적 근거를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며 “음식알레르기, 아토피피부염 등 다양한 알레르기질환에 대한 면역관용을 유도하는 임상연구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기초연구실지원사업과 중견연구자지원사업 도약연구의 지원으로 이뤄졌다. 연구결과는 세계적 권위의 과학학술지인 사이언스의 자매지 ‘사이언스 시그널링(Science Signaling)’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