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ERAS 기반 다중 통증관리, 마약성 진통제 줄이고 회복 앞당겨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8-12 10:00:55
기사수정
  • 마약성 진통제 사용량 54.2% 줄이면서도 통증 개선, 입원 기간 단축 입증
  • 김인경 서울성모병원 외과 교수팀, 다중 통증관리 프로토콜 개발로 ‘과학기술우수논문상’

김인경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대장항문외과 교수팀은 회장루 복원술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조기 회복’(Enhanced Recovery After Surgery, ERAS) 프로그램에 최적화된 다중 통증관리 프로토콜의 임상적 효과를 평가한 결과, 마약성 진통제 사용량을 감소시키면서도 핵심 목표인 통증 완화와 조기 회복에 따른 입원 기간 단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RAS 프로그램은 수술 후 환자의 빠른 회복을 위한 포괄적 치료 전략으로, 대장항문외과 분야에서 이환율 감소, 입원 기간 단축, 스트레스 반응 완화를 가져오는 주목할 만한 접근으로 평가받고 있다.

   

회장루 복원술은 직장암 절제술 후 임시로 설치한 회장루를 폐쇄해 장의 연속성을 회복하는 과정이다. 그러나 수술 후 발생하는 심한 통증이 환자의 회복을 위한 조기 보행을 지연시키고 장폐색 발생률을 높이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 통증 관리 방식은 주로 아세트아미노펜과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 위주였으나, 조절이 어려운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 마약성 진통제인 오피오이드(opioid)가 필요한 경우도 많았다.

   

이에 연구팀은 2017년 4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서울성모병원에서 회장루 복원술을 받은 환자 108명을 대상으로 ERAS 기반 다중통증관리 프로토콜의 효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했다. 그 중 67명(A그룹)에게는 ERAS에 최적화된 다중 통증관리 프로토콜을 적용했고, 41명(B그룹)에게는 기존의 통증 관리를 시행했다.

   

ERAS 프로토콜은 수술 2시간 전에 각기 다른 기전을 가진 가바펜틴(gabapentin),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셀레콕시브(celecoxib)의 3가지 통증 억제제를 경구 투여하고, 수술 중에는 초음파 유도 횡복근면 차단술로 국소마취제를 투여하는 방식이다. 수술 후에는 자가진통조절기(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를 보조적으로 사용하며, 통증 점수가 4점 이상일 때 추가 진통제를 투여했다. 모든 과정은 ERAS 프로그램의 핵심 원칙인 환자교육, 조기보행, 빠른 경구 섭취와 연계되어 체계적으로 운영됐다. 

   

그 결과 통증 수치는 기존 방식 대비 수술 첫날 기준 3.2점에서 2.6점 (18.8%)으로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마약성 진통제 사용량 역시 21.2mg에서 9.7mg으로 절반 이상 (54.2%) 감소했다. ERAS 프로그램의 궁극적인 목표인 입원 기간 역시 평균 4.1일에서 2.3일로 44.0% 단축되는 뚜렷한 성과를 보이면서도 합병증 발생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이 ERAS 기반 다중 통증관리 프로토콜은 통증 완화와 마약성 진통제 사용량 감소를 통해 환자의 조기 보행 및 빠른 회복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단순히 약물의 양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통증이 발생하는 경로를 다양하게 차단하는 전략으로, 환자의 전신 부담을 줄이면서 회복을 촉진하는 임상적인 이점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서울성모병원 대장항문외과는 장루 복원술뿐만 아니라 대장·직장암 수술을 받는 환자 전반에 걸쳐 수술 전·중·후 단계에 맞춘 다중 통증관리 프로토콜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 실제 임상 현장에서도 환자 회복 기간 단축과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고 있다. 수술 후 조기 보행과 식이 재개, 마약성 진통제 사용 최소화 등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김인경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대장항문외과 교수교신저자인 김인경 교수는 “수술 후 통증을 줄이는 것은 단순히 불편함을 완화하는 수준을 넘어, 조기 회복과 재원 기간 단축이라는 실질적인 효과로 이어지므로 환자 안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며 “외과 수술 전반에서 다중 통증관리 프로토콜을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대한대장항문학회가 발간하는 대장항문학회지에 2024년 6월, 실린 이 논문은 ‘제35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최근 수상했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아에스티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