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영수 한미약품 ONCO임상팀 이사(가운데)가 지난 6월 17일(현지시각) 스위스 루가노에서 열린 국제림프종학회(ICML 2025)에서 HM97662의 연구 현황에서 발표하고 있다.
한미약품이 개발 중인 차세대 표적항암제 ‘EZH1/2 이중저해제(HM97662)’가 기존 치료제의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비임상 연구를 통해 입증하며 국제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회사는 지난달 17일부터 21일까지 스위스 루가노에서 열린 제18회 국제림프종학회(ICML 2025)에 참석해, HM97662의 비임상 혈액암 연구 결과를 포스터 형식으로 발표했다고 4일 밝혔다.
EZH1과 EZH2는 암세포의 성장과 분화에 핵심적인 유전자 조절 단백질로, 이들을 동시에 억제하는 HM97662는 암 유발 단백질 복합체인 PRC2(Polycomb Repressive Complex 2)의 활성을 억제해 보다 강력한 항암 효과를 낼 수 있다.
한미약품은 이번 발표에서 HM97662 단독 투여만으로도 B세포 림프종 모델에서 유의한 종양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고 소개했다. 특히 기존 EZH2 선택적 저해제인 타제메토스타트(타즈베릭)에 내성을 보이는 림프종 및 다발성 골수종 세포주에서도 HM97662는 H3K27me3 삼중 메틸화를 강력히 억제하며 효과를 유지했다.
내성 세포주에서는 EZH1의 보상적 발현이 증가하는 특징이 관찰됐으며, 이 역시 HM97662의 이중 저해 기전으로 극복 가능하다는 점이 확인됐다.
이번 연구는 EZH1/2 이중저해제가 기존 선택적 저해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항암 전략임을 시사하는 결과로, 글로벌 석학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았다.
한미약품은 HM97662를 한국과 호주에서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글로벌 임상 1상 시험 중이며, 관련 결과를 오는 10월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노영수 한미약품 ONCO임상팀 이사는 “HM97662는 기존 저해제의 내성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항암 치료 기전을 제시할 수 있는 후보물질”이라며 “향후 다양한 암종으로 적응증을 확장해 암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