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의료원은 22일 이대서울병원 1층 우복희 아트홀에서 ‘이대엄마아기병원’ 개원식을 개최했다.
이대엄마아기병원 초대 병원장에는 고위험 임신부 치료·관리 분야 명의인 박미혜 이대서울병원 산부인과 교수가 임명됐다. 박 병원장은 고령·다태아 등 고위험 임신 케어의 전문가로, 지난 2월 이대서울병원 모아센터가 개소 5년 만에 분만 3000건을 달성하고 500번째 쌍둥이를 출산하는데 주춧돌 역할을 했다.
엄마와 아기를 집중적으로 돌볼 수 있는 센터들도 구축했다. 고위험산과센터장에는 산부인과 이경아 교수, 고위험신생아집중치료센터장에는 소아청소년과 심소연 교수, 산과출혈센터장에는 김태윤 외과 교수, 아기수술센터장에는 서동만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 에드먼즈간호교육센터장에는 문현숙 특수간호팀장이 임명됐다.
이대엄마아기병원은 산모와 태아, 신생아 건강관리를 위해 산부인과뿐만이 아니라 소아 신경, 소아 감염, 소아 심장 등 소아청소년과 분과와 소아흉부외과, 소아영상의학과, 소아외과, 소아신경외과, 소아재활의학과 등 다양한 전문과의 의료진들이 유기적으로 협업한다.
병실은 산모의 동선을 고려해서 산모가 안전하게 분만할 수 있게 설계됐다. 각 침상에는 태아와 산모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전자 태아 심음장치가 배치돼 있고 이것을 중앙 시스템에서 확인함으로써 의료진이 긴박한 응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다.
아울러 한 공간에 진통실, 가족 분만실, 고위험 임부실을 구축했고, 의료진이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상시로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응급 상황을 대비하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분만실은 신생아집중치료실과 직접 연결돼 분만 후 신생아에서 생길 수 있는 여러 가지 감염이나 기형에 대해 소아청소년과와 긴밀한 협조가 이뤄진다.
신생아실에는 24시간 의료진이 대기해 돌보며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매일 신생아 상태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산모들에게 피드백한다. 산모와 신생아, 보호자와 의료진 이외에는 다른 사람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는 출입통제시스템을 가동함으로써 산모와 신생아들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지낼 수 있는 병실을 운영하고 있다.
전치태반 등 산과적 출혈 가능성이 높은 산모들의 전원이 급증하고 있어 원내 및 원외 전원 출혈 산모를 위한 '산후 출혈 FAST track system'을 갖춰 산후 출혈 단계에 따라 응급의학과, 영상의학과, 부인과, 중환자의학과와 즉각적인 협진이 이뤄진다.
끝으로 에드먼즈간호교육센터를 통해 신생아 심폐소생술, 산후출혈 시뮬레이션교육 등을 포함한 다양한 의료인 교육이 시행되며, 최근 보건복지부가 조산 수습의료기관으로 지정하면서 조산사 교육도 이뤄진다.
박 병원장은 “1887년 탄생한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전문병원인 보구녀관의 섬김과 나눔의 정신이 병원 출산 문화를 확산시켰던 릴리안 해리스 기념병원과 이대동대문병원, 이대목동병원을 거쳐 이대엄마아기병원에 이르렀다”며 “산모와 아기를 정성스럽게 돌보았던 이화의 정신을 이어받아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최선을 다해 보살피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22일 응급실 운영의 안정화를 위해 현장 의료진 지원을 강화하고 경증 환자의 분산 대책을 시행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날 정부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에 대한 추가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미 지난 2월부터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를 100% 인상한 바 있으며, 이번에는 이를 150%까지 상향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또한, 전국 권역 및 전문 응급의료센터의 수술 가산율을 100%에서 150%로 높였던 것처럼,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도 비슷한 방식으로 인상할 예정이다. 더불어 응급의료센터의 인력에 대한 인건비 지원도 강화할 계획이다.
경증 환자가 응급실에 집중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도 제시됐다. 정부는 전국 136개 지역응급의료센터 중 약 15곳을 거점 병원으로 지정해, 이들이 중증·응급 환자 치료에 주력하도록 할 예정이다. 경증 환자는 지역 센터에서 우선 치료를 받고, 상태가 악화되면 즉시 권역센터나 거점 병원으로 이송되는 체계를 마련할 방침이다.
또한, 현재 50~60% 수준인 경증 환자에 대한 외래 진료 본인 부담금을 인상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응급실을 찾는 환자의 대부분이 중등증 이하의 환자들로, 이들을 지역 병원으로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고 설명하면서도, 응급 의료계가 요구하는 ‘본인 부담률 100%’에 대해서는 아직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외에도 중증·응급 환자의 수용률과 병원 간 전원 체계의 효율성을 평가해 우수 기관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입원 후 수술, 처치, 마취 등의 수가 인상도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다가오는 추석 연휴(14~18일)를 대비해 당직 병의원을 예년보다 더 많이 운영할 방침이다. 전국 520개 응급실은 평소처럼 24시간 진료를 유지하며, 연휴 기간 응급 진찰료 가산 범위도 기존의 응급 의료 기관에서 응급 의료 시설로 확대해 경증 환자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