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권성근 서울대병원 교수-한상윤 한양대병원 교수, 美 후두학회 '카셀베리상' 한국인 최초 2번째 수상
  • 오민택 기자
  • 등록 2024-05-28 20:29:15
  • 수정 2024-05-29 10:18:31
기사수정
  • 송윤섭 순천향대서울병원 교수, ‘전립선암 면역항암제 ’ 중견연구 신규과제 선정 ... 정원규 강동경희대병원 교수, 인지중재치료학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 배웅진 서울성모병원 교수, 대…

권성근 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한상윤 한양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가 지난 15~19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 이비인후과 춘계종합학술대회(COSM)에서 미국후두학회 최고 권위의 상인 ‘카셀베리상’(Casselberry Award)을 수상했다고 28일 밝혔다. 


미국후두학회 회장을 지낸 윌리엄 카셀베리 박사의 기부금으로 제정된 이 상은 그해 후두과학 분야에 가장 탁월한 업적을 낸 연구자에게 주어진다. 기준을 충족하는 대상자가 없으면 시상식을 열지 않으며, 제정된 지 118년이 지났으나 수상자는 권 교수를 포함해 단 30명에 그친다.


카셀베리상은 1906년 기금 설립 이래 올해까지 단 30번만 수여된 미국후두학회 최고 권위상이다. 이비인후과 후두학 분야에서 한 해 동안 가장 탁월한 업적을 낸 연구자에게 주는 상이다.


권성근 교수는 지난 2018년 한국인 최초로 이 상을 수상한 후 올해 두 번째 영예를 안았다. 이 상을 2번 수상한 의사는 권 교수를 비롯해 3명뿐이다. 한상윤 교수는 한국인으로 두 번째 수상이다.


권성근 교수는 중간엽 줄기세포 스페로이드(3차원으로 배양된 세포집합체)와 표면을 낙엽형태로 개질한 3차원 프린팅 지지체를 활용해 기도를 재건할 경우, 기도 형태가 유지되는 동시에 기도 점막이 빠른 속도로 재생된다는 사실을 밝혔으며, 이 치료법이 독창적이고 성공적인 기도 재건술로 평가받으며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한상윤 교수는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중배엽 줄기세포 스페로이드 이식 낙엽적층형 기관지지체를 이용한 기관재건'이라는 논문으로 줄기세포를 활용하면 점막재생과 혈관신생을 촉진할 수 있으며, 이식체에 대한 면역반응을 낮추고 줄기세포를 낙엽적층형 지지체를 활용해 특별한 물질 없이 이식할 수 있음을 규명한 점을 높게 평가받았다.


권성근 교수는 “향후 이 방법이 난치성 기관협착 환자들에게 희망을 주는 새로운 치료법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상윤 교수는 "줄기세포를 활용한 조직재생 공학은 다양한 기관에 적용 가능하다. 줄기세포 효과가 강화된 줄기세포 스페로이드를 활용하면 다양한 기관을 재건하는 데 도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이비인후과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윤섭 순천향대서울병원 비뇨의학과 교수

송윤섭 순천향대 서울병원 비뇨의학과 교수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중견연구(유형1) 신규과제에 선정돼 3년 간 7억1200만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송윤섭 교수가 연구할 내용은 ‘전립선암 내 면역환경 변화에 의한 전립선암 면역관문 억제 약물치료 효과 증진’이다. 연구 기간은 2024년 5월부터 2027년 4월 30일까지다. 


송윤섭 교수는 최근 3년간 전립선암의 △마이크로바이옴 △암 대사 △세포 기반 유전자 치료 등과 관련한 24편의 SCI 논문을 주저자로 출판했고, 이들 분야를 접목한 '난치성 전립선암 면역관문 억제액물 치료'에 대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정원규 강동경희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교수

정원규 강동경희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교수가 지난 25일 개최된 인지중재치료학회 춘계 학술대회에서 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했다.


정원규 교수는 동물 실험을 통해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저선량 전리 방사선 조사 후 3개월간 변화를 실험 동물이 살아있는 상태에서 추적 관찰한 연구 결과를 발표해 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했다.


최근 저선량 전리 방사선(low-dose ionizing radiation)을 이용한 알츠하이머병 및 퇴행성 뇌신경 치료 연구가 큰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저선량 방사선의 치료 효과를 높히기 위한 새로운 저선량 방출 방식의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정원규 교수는 알츠하이머병 모델 마우스에서 저선량 전리 방사선 조사 후 뇌 내 미세환경의 변화를 라이브 이미징 기법으로 3개월 간 추적 연구한 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 연구는 기존 저선량 전리 방사선 동물 연구과 달리 펄스 조사 방식을 사용했으며, 라이브 이미징 기법을 도입해 살아있는 실험쥐의 뇌의 변화를 3개월간 촬영했다.


연구결과 뇌혈관장벽(blood-brain barrier, BBB) 개폐 조절(4~6주간 개방), 항염증 작용(M2형 미세아교세포 증가)을 확인했으며, 아밀로이드 플라크(beta-amyloid plaque) 및 타우(tau) 단백질 발현 감소 등 질병마커 개선 효과도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저선량 전리 방사선은 향후 알츠하이머병 치료 시스템뿐만 아니라 뇌혈관장벽 개폐 조절을 통한 뇌 내 약물전달시스템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원규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저선량 전리 방사선은 향후 알츠하이머병 치료 시스템 개발에 토대가 될 알츠하이머병 정복에 한걸음 더 다가선 연구”라며 “뇌혈관장벽 개폐 조절을 통한 뇌 내 약물전달시스템 개발에 추가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덧붙였다.


배웅진 서울성모병원 비뇨의학과 교수

배웅진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비뇨의학과 교수가 「2024년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춘계 심포지엄 및 제 17차 실무자 워크숍」에서 우수 연구자로 선정돼 젊은연구자 우수연구 AWARD를 수상했다.


배웅진 교수는 이번 학술대회에서 대마의 카나비노이드를 이용한 비뇨기 염증질환의 기전 연구 및 신약 개발(Development of novel drugs for urologic inflammatory disease using cannabinoids)에 대한 연구를 제안해 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간질성 방광염과 만성전립선염은 뚜렷한 치료법이 없는 난치성 비뇨기 염증 질환이다. 특히 만성전립선염은 모든 남성 2명 중 1명은 일생에 한 번 이상에 준하는 증상을 경험할 정도로 숙명적인 병이지만 완치가 어려운 난치성 질병 중 하나이다.


배웅진 교수는 대마 성분인 카나비노이드를 이용해 이러한 난치성 비뇨기 질환의 구체적 기전 규명 및 새로운 치료법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배웅진 교수는 “이번 기초연구를 통해 마약으로만 인식되던 대마에서 항염증, 진통 효과를 가진 추출물을 이용한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라며 “일반적인 약물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던 방광염과 만성전립선염 등 난치성 비뇨기 질환을 위한 신약개발의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동환 여의도성모병원 정형외과 교수, 김석중 의정부성모병원 정형외과 교수 (왼쪽부터)

이동환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정형외과 교수김석중 의정부성모병원 정형외과 교수가 지난 17일부터 2일간 서울 SC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2024년 제42차 대한슬관절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우수 구연상을 수상했다.

이동환 교수 연구팀은 'Targeting of the CCL2/MCP 1 signal pathway by soluble CCR2 expressing mesenchymal stem cells in osteoarthritis.(퇴행성 관절염에서 soluble CCR2 발현 중간엽 줄기세포에 의한 CCL2/MCP 1 신호 경로의 표적 치료)'라는 연구 제목으로 발표해 우수 구연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동환 교수 연구팀은 soluble CCR2 발현시킨 중간엽 줄기세포가 단순히 중간엽 줄기세포만을 이용한 것에 비해 효과적으로 골관절염을 치료할 수 있음을 동물실험을 통해 증명했다.

이동환 교수는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향상된 효과를 갖는 퇴행성 골관절염 세포치료제를 개발해 퇴행성 골관절염으로 많은 환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이승순 한림대 춘천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박성철 서울부민병원 교육연구실장 (왼쪽부터)

이승순 한림대 춘천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가 최근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이 주관하는 2024년도 학술연구용역과제에 선정됐다.

'국내 의료환경에서 CPE 보균자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중재연구 및 확산방지 연구'를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사업은 의료기관 내 및 의료기관 간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의 확산을 막는 중재연구 및 정책제안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질병관리청으로부터 2025년 12월까지 총 7억 원을 지원받아 진행된다.

카바페넴 분해요소 생성 장내세균 감염증(CPE)은 슈퍼박테리아의 일종으로 요로감염, 폐렴 및 패혈증 등 다양한 감염증을 유발한다. CPE 감염증은 현재 치료제가 제한적이고 균혈증 발생 시 사망률이 높으며 전파력 또한 매우 높아 전 세계적으로 긴급한 항생제 내성 위협으로 보고되고 있다.

CPE 균주는 장관 내에 보균된 이후 치료를 요하는 감염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미국 CDC에서는 급성기 및 장기요양병원 그리고 공공의료 간 지역 협력적 접근을 통한 CPE 중재 및 지역확산 방지 전략을 제안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지역 협력적 접근에 기반하는 근거 중심의 CPE 보균자 중재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어서 새로운 연구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연구팀은 국내 의료환경에서 CPE 보균 현황 파악, CPE 균주의 전장유전체 분석을 통한 CPE 전파양상 파악, 주요선진국의 지역협력 CPE 보균자 관리 사례 검토 등을 통해 근거 중심의 CPE 보균자 중재연구 및 CPE 보균자 지역확산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해 CPE 보균자의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승순 교수는 "지역협력적 접근을 통한 근거 중심의 CPE 보균자 중재연구 및 CPE 지역확산 시뮬레이션 모델 구축은 향후 국내 CPE 보균자 관리의 벤치마킹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중증 환자들의 CPE 감염증을 예방하고 환자들의 치료 예후를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박성철 서울부민병원 교육연구실장(척추센터)이 지난 5월 22월부터 24일까지 롯데호텔 서울에서 개최된 ‘2024 대한척추외과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젊은 연구자상’을 수상했다.

대한척추외과학회가 수여하는 젊은 연구자상은 만 45세 이하 척추관련 연구자를 대상으로 연구 업적이 뛰어난 회원을 선정해 수여하는 상으로 SCIE 논문 편수와 인용지수 등을 합산해 수상자를 선정한다.

박성철 실장은 척추질환 치료에서 환자의 정상적인 구조물을 보존하여 신체의 부담을 줄이고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발전시키고자 그동안 발표한 다양한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이번 수상의 주인공이 됐다.

박성철 실장은 "척추 질환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의 가장 적합한 치료 방법을 찾기 위해 연구한 노력을 좋게 평가받은 것 같아 감사하다”며 “앞으로도 꾸준한 연구 활동을 통해 환자들이 합병증이 적고 회복이 빠른 방법으로 치료받으실 수 있도록 노력하고 학술분야 발전에도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강동경희대학교병원
JW신약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