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급성관상동맥증후군, 지속형-폴리머 약물스텐트, 분해형과 차이 없어
  • 설동훈 기자
  • 등록 2021-03-23 15:51:28
  • 수정 2021-06-28 18:15:00
기사수정
  • 김효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팀…1차사건 평가 시 사망률·재시술율·안전성 각각 5.2%, 6.4%로 나타나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환자에게 시술하는 스텐트에 적합한 약물용출 방식을 국내 연구진의 대규모 연구를 통해 규명됐다. 

김효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팀(박경우·강지훈 교수)은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약물 스텐트 임상연구 결과 지속형-폴리머 약물 스텐트가 분해형-폴리머 약물 스텐트에 비해 안전성 및 효과에 차이가 없다고 23일 밝혔다.

 

급성관동맥증후군은 심장근육에 혈류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죽상경화증으로 좁아진 상황에서 급성으로 혈전이나 혈류장애가 악화되어 발생한다. 급성심근경색, 급사로 이어질 수 있는 위중한 병이다. 좁아진 혈관을 확장하는 스텐트를 삽입해 협착 부위를 넓히는 시술이 일반적인 치료다.과거에는 스텐트 시술 이후 재협착이 큰 문제였으나 최근에는 이를 막기 위해 약물을 표면에 입힌 스텐트가 주로 사용된다.

분해형-폴리머 약물 스텐트는 시간이 경과하면 약물은 흡수가 되고 폴리머는 남는 지속형-폴리머 약물 스텐트와 달리 약물과 더불어 폴리머도 서서히 녹아 체내에 완전히 흡수된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했던 지속형-폴리머 약물 스텐트에 비해 안전성과 효과가 뛰어날 것으로 여겨졌다.
 
이번 연구의 대상은 40개 센터에서 6년 동안 스텐트 시술을 받은 급성관동맥증후군 환자 3413명(지속형-폴리머:1713명, 분해형-폴리머:1700명)이다. 연구팀은 환자마다 1차평가 사건(모든 원인 사망·비치명적 심근경색·모든 혈관 재개통술)과 2차평가 사건(심장 사망·목표혈관 심근경색· 목표병변 혈관재개통술)으로 나눠 분석했다.

 

연구결과 지속형-폴리머 약물 스텐트 그룹은 1차평가 사건 발생율이 5.2%로 분해형-폴리머 약물 스텐트의 6.4%와 차이가 없었다. 2차평가 사건 발생율에서는 2.6% 대 3.9%로 우월한 결과를 보였다. 목표병변 혈관재개통술의 감소가 주원인이었다.  

 

김효수 교수는 “이번 연구는 관상동맥 스텐트의 약물방출 폴리머 기술을 비교 분석한 최초의 대규모 임상연구”라며 “환자에게 적합한 스텐트 선택의 지침을 제시해 진료현장 의사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심장분야 국제 최고 권위지인 ‘서큘레이션(Circulation, IF;23)’ 최근호에 게재됐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강동경희대학교병원
JW신약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