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확진 후 격리 해제 됐는데, 왜 이렇게 피곤하지?
-
잔청이 꽤 있는 난청 환자도 인공와우 수술 가능
-
코로나 회복 후 계속 숨차면 폐기능 저하 의심해야
-
혈관 보존하는 하지정맥류 수술, 국내 최초 임상결과 발표
-
있어도, 없어도 걱정인 ‘사랑니’ 어떻게 해야 할까요
-
항암치료때 심장 이상 생긴다면? 심독성 유발 치명적
-
김승협 서울의대 명예교수, ‘호두까기증후군’ 영문교과서 출간
-
김지현 국립암센터 전임의, 대한부인종양학회 신풍호월학술상
-
화장품 사용 프로필렌 글리콜, 일부 접촉성 피부염 유발
-
고려대의료원 – 필립스코리아, 스마트 미래병원 구축 업무협약
-
특발성 렘수면행동장애 진단 후 신경퇴행성장애 없어도 안심하지 말아야
-
자발성 뇌출혈의 맞춤형 통합의료서비스 의·한 교수진 뭉쳤다
-
한국원자력의학원 김진수 박사 연구팀, BRIC ‘한빛사’ 선정
-
최첨단 스마트병원 신축으로 의료∙연구 혁신 주도
-
-
수술 불가능 위암, 항암제 효과 예측 혈액 기반 바이오마커 발견
-
뇌전증 환자,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 합병증 발생 위험 더 높아
-
구강내 통증 유발하는 '구강작열감증후군' 발병기전 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