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산분비억제제 PPI 복용땐 심뇌혈관질환 위험 높이지 않는다
-
김승희 복지장관 후보…식약처장 출신 의약전문가
-
먹어도 먹어도 배고픈 아이… 유전 질환‘프라더-윌리 증후군’
-
배상철 한양대병원 교수, 대한류마티스학회 회장 선출
-
만성 B형간염 환자, 간암뿐 아니라 ‘다른 암’도 위험
-
신생아중환자실 1등급 의료기관 전국 63곳…3년전보다 25곳 늘어
-
연세의료원, 우크라이나 난민·동해 산불 성금 2억2000만원 지원
-
삼성서울병원, 로봇 기반 첨단 지능형 병원 도약 선언
-
점액성 위암 , 일반항암제 효과 떨어지고 면역항암제 효과 탁월
-
유한욱 분당차여성병원 교수,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 수상
-
아플수록 긍정적으로 살자! 낙관주의자, ‘질병’ 치료에 도움
-
한독협회, 제11회 ‘이미륵상’에 전영애 서울대 명예교수 선정
-
대사이상 중증도 높을수록 간 섬유화 위험 증가한다
-
-
홍서영 서울대병원 임상강사, 세계간이식학회 ‘라이징 스타상’ 영예
-
군살에 의한 부분비만, 그 원인은 당신의 자세에 있다?
-
서울성모병원, 난치성 혈액질환자 신장이식 성공
-
김정훈·조성우 교수 연구팀, 스마트폰 녹음 수면무호흡증 진단하는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