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움바이오 로고
티움바이오는 21일 메리골릭스(Merigolix, TU2670)의 염 및 결정형에 대한 특허를 중국에 등록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특허는 미국, 유럽, 일본, 한국에 이어 중국까지 확대된 것으로, 메리골릭스의 약학적 용도에 관한 염 및 결정형 관련 내용을 담고 있다.
티움바이오는 앞서 메리골릭스의 물질특허를 주요 시장에서 확보한 데 이어, 에버그리닝 전략에 따라 후속 특허를 출원해 특허 보호 기간을 2039년까지 연장할 수 있게 됐다. 염화합물, 결정형 등 다양한 유형의 특허를 추가로 취득함으로써 독점권을 유지하며 신약 개발 및 사업화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김훈택 티움바이오 대표는 “중국까지 특허 등록을 마치며 메리골릭스의 독점기간을 연장했다”며 “자궁내막증에 이어 자궁근종 임상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확보한 만큼 신약 사업화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실제로 대원제약이 수행한 자궁근종 임상 2상에서도 주요 평가 지표인 월경과다증 개선 효과가 확인됐다.
메리골릭스의 중국 내 개발 및 상업화 권리는 한소제약(Hansoh Pharma)이 보유하고 있으며, 2022년 1억7천만 달러 규모의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현재는 보조생식술(ART) 적응증에 대한 개발이 진행 중이다.
한국비엔씨-진메디신 전략적 지분투자 및 제휴협력 기념 사진
한국비엔씨는 항암 바이러스 치료제 전문기업 진메디신과 전략적 지분투자 및 제휴협력 계약을 체결하고, 주요 파이프라인에 대한 아시아 지역 독점 판권을 확보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한국비엔씨는 진메디신의 시리즈C 투자에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하고, 항암바이러스 치료제와 뇌특이적 전달기술 기반 치료제 등 공동 연구개발에도 나설 예정이다.
진메디신은 종양 특이적 복제 및 면역 반응 유도 기능을 갖춘 항암 바이러스 치료신약과 약물전달체계(DDS) 기술을 보유한 바이오벤처로, 윤채옥 대표가 30년 이상 관련 기술을 연구해온 전문가다. 이번 전략적 제휴에는 나노젤 기반 비만치료제, 알츠하이머·파킨슨·간질 치료제 및 항암신약 개발 협력이 포함돼 있다.
양사 간 라이센싱 계약을 통해 한국비엔씨는 진메디신이 개발 중인 항암바이러스 유전자치료제 GM102, GM103, GM104에 대해 한국, 일본, 중국, 중동 등 아시아 전역에서의 독점 제조 및 판매 권한을 획득했다. 해당 시장은 2023년 약 4,400억 원 규모에서 연평균 22% 성장해 2032년에는 약 2조7,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최완규 한국비엔씨 대표는 “이번 협력은 차별화된 비만 및 신경계 질환 치료제 개발에 있어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진메디신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글로벌 유전자치료제 시장 진출 기반을 강화하고, 기술력 있는 파이프라인의 공동 개발과 상용화를 본격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국바이오협회 로고
한국바이오협회가 차기 정부에 제안한 ‘바이오산업 생태계 조성 10대 과제’가 주목받고 있다.
협회는 창업부터 기업 성장에 이르기까지 바이오 산업계가 직면한 구조적 문제와 해결방안을 제시하며, 패스트 팔로워를 넘어 퍼스트 무버로 도약하기 위한 종합 전략을 내놨다. 특히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바이오기업 CEO 136명 중 74%가 자금 사정이 어렵다고 응답했으며, 76%는 자금난으로 연구개발 일정에 차질을 겪었다고 밝혀 산업계 전반의 고충이 확인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업에 대해 71%가 ‘잘한 선택’이라 답했으며, 사명감과 성장 가능성, 기술력에 대한 확신 등이 그 이유였다. 창업 후회 이유로는 자금조달 어려움, 과도한 규제, 비현실적인 평가 기준, 국책과제의 단기성과 중심 경향 등이 지적됐다.
이에 따라 업계는 R&D 예산 확대, 바이오 지원 펀드 조성, 상장 및 규제 제도 개선, 정책 일관성 확보 등을 차기 정부가 시급히 추진해야 할 과제로 꼽았다.
협회가 제안한 10대 과제에는 창업 교육을 위한 ‘코리아 바이오 부트 캠프’, AI신약개발 촉진을 위한 ‘바이오 스타게이트’, 초기기업 투자를 위한 ‘죽음의 계곡 넘기 프로젝트’, 상장요건 완화를 통한 ‘바이오 문호 개방 프로젝트’ 등이 포함됐다.
이 외에도 현장 중심 인력양성, 규제개혁 담당관 신설, IP-R&D 기반 글로벌 진출 지원, 바이오 소재 국산화를 위한 협의체 운영, 수출통상지원센터 설립, 강력한 바이오산업 거버넌스를 위한 ‘바이오산업 종합 육성법’ 제정 등이 제시됐다.
이러한 제안은 최근 열린 ‘위기의 K바이오, 글로벌 바이오강국으로의 대전환을 위한 토론회’에서도 강조됐다. 이 자리에서 산학연 전문가들은 차기 정부가 투자, 인력, 규제, 공급망, 특허, 상장 등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친 전면적인 혁신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바이오협회는 향후 산업계와 정부 간 긴밀한 협의를 통해 이 과제들이 실질적인 정책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아이진, 차세대 보툴리눔 톡신 기술도입 체결 기념사진
아이진이 엠브릭스로부터 차세대 재조합 보툴리눔 톡신 기술 ‘MBT-002’의 기술이전 및 글로벌 판권 계약을 체결하며, 새로운 현금창출원 확보에 나섰다. 이번 계약으로 아이진은 해당 기술에 대해 세계 독점 개발 및 판매 권리를 확보하게 됐다.
MBT-002는 기존 보톡스 제품에 비해 확산이 적고 독성이 낮아 부작용 위험이 현저히 낮은 데다, 발현 속도가 빠르고 지속 효과가 길다는 점에서 차세대 보툴리눔 톡신으로 주목받는다. 특히 유전자 재조합 방식으로 생산돼 기존 제품의 특허 및 균주 의존성을 벗어나 독자적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다.
아이진은 이번 기술도입을 바탕으로 비임상 및 국내 임상개발에 착수하고, 향후 중국, 북미, 유럽 등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 계획이다. 시장조사기관 그랜드 뷰 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보툴리눔 톡신 시장은 2023년 111억 달러에서 2030년 211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아이진 관계자는 “보툴리눔 톡신 대량 생산설비와 공정 기술을 갖춘 한국비엠아이와 협업해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라며 “기술력과 생산 역량을 결합해 시너지를 극대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한양행, 발명의 날 맞아 대통령 표창 … 혁신신약 ‘렉라자’ 기술수출과 지식재산권 관리 성과 유공
유한양행은 지난 19일 코엑스 마곡에서 열린 ‘제60회 발명의 날’ 기념식에서 유공단체로서 최고 영예인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유한양행은 연구개발 단계에서부터 특허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체계적인 IP-R&D전략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점, 임직원들의 발명을 지원하기 위한 직무발명 보상제도를 확립한 점, 지식재산권 관리 프로그램을 구축해 지식재산권 데이터를 철저히 관리하고 보호하는 데 노력하고 있는 점을 높게 평가받아 이번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특히 국산신약 제31호인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정’(성분명 레이저티닙)을 개발하고 탄탄한 특허 포트폴리오를 구축, 이를 토대로 미국 얀센 바이오테크사에 기술 수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렉라자’는 국산 항암제 최초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획득하고 추가로 유럽, 일본 등에서 허가를 획득해 글로벌 신약으로 자리잡고 있다.

동아ST, ‘발명의 날’ 대통령 표창 수상 … 비만 ‘DA-1726’, MASH ‘DA-1241’ 글로벌 임상 진입
동아에스티는 지난 19일 서울 강서구 코엑스 마곡에서 개최된 ‘제60회 발명의 날’ 기념식에서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동아에스티는 국내 제약산업의 성장기반을 다져온 1세대 제약회사로 △1977년 국내 제약업계 최초 기업부설연구소창설 △1985년 업계 최초 KGMP 적격 기업 선정 △1990년 첫 국산 항암 신약후보물질 도출 △국산 신약 4종 및 천연물 의약품 2종 개발 등의 성과를 이뤘다.
또 연구 성과를 보호하기 위한 지적재산 인프라를 구축해 연구자들의 발명을 장려하는 환경을 조성해왔다. 예컨대 △특허 전문가들의 직무발명 및 출원 상담 △연구에 관한 특허 사전 출원 △기술수출에 대한 포상 △출원 및 등록 특허 보상제도 △특허 전산시스템 구축 △지식재산법 전문가의 사내 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다.
이런 노력의 결과로 GLP-1 및 Glucagon 이중작용제 비만치료제 ‘DA-1726’, MASH 치료제 DA-1241'의 글로벌 임상 진입,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이뮬도사(IMULDOSA, 프로젝트명 DMB-3115)’의 글로벌 시장 진출 등의 성과를 창출했다.
동아에스티 관계자는 “이번 대통령 표창은 연구자들이 중심이 되는 발명 친화적 R&D 환경과 한국형 글로벌 의약품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인정받은 결과”라며 “제약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